[환경]도시의 열섬효과에 대해서...
- 최초 등록일
- 2000.09.17
- 최종 저작일
- 2000.09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열섬 효과에 대해서..
대기는 생물이 생존하기 위한 다양한 환경을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적당한 기온, 기압을 유지해 주고, 생명체가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에너지를 만드는데 필요한 산소를 제공해주고 있다. 공기를 마시지 않고는 우리는 단 몇 분이라도 버틸 수 없으며, 또한 마시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흡입할 수도 없는 것이다. 그러나 대기오염 현상은 지형이나 기상에 따라 시간, 공간적으로 계속 변화하는 것으로 그 현황에 대한 파악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고, 이는 대기오염에 대한 무감각과 무대책의 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세계 1-2위라는 서울의 대기오염도와 시민이 느끼고 있는 체감오염도와는 달리 정부의 대기오염도 발표는 언제나 그렇게 걱정할 수준은 아니라는 것이다. 정부가 평가의 근거로 삼고 있는 자료는 대기오염 자동측정망이라는 엄청난 비용을 투자한 기계에 의한 것이고, 이 자동측정망은 최근 몇년간의 우리나라의 대기오염 관리와 정책의 파행을 가져온 블랙박스 역할을 하여 왔다. 기계라는 것은 사람의 관리를 필요로 하는 것이고, 이러한 관리 실태의 정확한 평가와 부재 속에 정확하다고 믿어온 자동측정망 자료에 대한 맹신에 대한 지적이 최근 계속 지적되면서 대기오염에 대한 시민의 불안감은 계속 증폭되고 있다. 한 예로, 대기오염 자동측정기의 보정을 하기 전과 보정 후의 농도가 순간적으로 3-4배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과 시민의 대기오염 감시기능으로 설치한 대기오염 전광판의 숫자가 터무니없는 농도를 나타내고, 실제 오염도와는 전혀 다른 수치를 표시하는 등 측정망 관리 및 운영실태는 변화하는 대기오염만큼 해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산업시설이나 자동차, 아파트단지 등 대기오염 주요 배출원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소각로나 각종 산업시설에서 알 수도 없는 유해물질의 대기로의 배출은 계속하여 시민의 건강을 담보하고 있다. 서울에서는 서울형 스모그라는 정체불명의 현상이 사계절 서울의 하늘을 덮고 있으며, 인천이나 울산 등의 공업단지에서는 대형 매연 차량에 의한 질소산화물 농도가 환경기준을 2-3배나 윗도는 수치가 시민에 의한 측정에 의해 나타나고 있는 등 공단이나 도로 등 우리의 대기는 기체상물질의 쓰레기장으로 변하고 있다. 또한, 연료사용량이 대형공장의 사용량과 버금가는 대형아파트단지나 빌딩가에서는 단속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상태에서 대부분 방지시설을 설치않은 상태로 매연과 검댕을 발생시켜 시민의 건강과 재산피해를 가중시키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