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제자원리
- 최초 등록일
- 2000.08.29
- 최종 저작일
- 2000.08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목적,창제동기등등훈민정음에 대한 레포드 작성시 유용하게 쓰시길 바랍니다.
목차
1. 들어가기
1.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목적
2. 훈민정음의 특성
1. 세종의 민주 사상과 한글
2.제작원리가 소상히 밝혀진 글자
4. 참으로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발명 문자
5. 음소(音素) 문자와 음절(音節) 문자의 두 장점을 가진 글자
6. 자음(子音)과 모음(母音)의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는 글자
7. 일정한 소리를 가진 글자
8. 가장 익히기 쉬운 글자
본문내용
1. 들어가기
정보통신의 발달로 오늘날 우리가 주고받는 정보는 눈과 귀를 통해 실시간(realtime)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쏟아지는 정보와 기존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data base)를 통해서 정리, 관리하고 그러한 정보를 대중이 공유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이라는 것이 이전 같으면 각각 분리되었을 음성, 문자, 동화상을 하나로 통합하여 우리에게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문자는 독립된 하나의 정보 전달 수단으로서의 그 기능은 약화되어 가고 있는 듯하다. 이러한 시대흐름 속에 현재의 자모(字母)에 관한 것도 아니고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를 말하려는 것은 훈민정음은 우리 고유의 문자 체계로서 소중한 문화적 자산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15세기의 음운 체계나 음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훈민정음의 내용이 다루어지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동일한 현상이다. 훈민정음을 이해하기 위한 어떠한 논의에서든 훈민정음 그 자체를 떠날 수 없고, 훈민정음 그 자체란 훈민정음 속에 내재된 원리까지를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훈민정음의 제자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훈민정음의 기술에서 출발해야 한다. 훈민정음의 제자 과정에 대한 논의를 하면서 훈민정음의 기술을 떠날 수 없다는 요구는 당연한 것이다. 훈민정음의 제자 과정에 대한 이해는 제자의 원리를 찾아내는 것이지, 제자의 원리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제자의 원리를 이해하여 새로운 이론을 창조하는 것은 차원이 다른 문제이다. 그러므로, 훈민정음의 충실한 기술과 그 기술 속에 함축된 의미를 발견하고, 훈민정음 자모들이 만들어진 원리의 과학성도 확인해 보겠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