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술]무술, 무도, 무예의 차이와 그 발전 방향
- 최초 등록일
- 2000.08.26
- 최종 저작일
- 1997.0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우리사회의 무도에 관한 담론의 실상
2. 전통성 담론의 성격과 문제점
3. 과학화 담론의 성격과 그 한계 (체육과 무도)
4. 새로운 무도 개념의 정립의 방향성
5. 무술, 무예, 무도의 개념 구분
6. 무술, 무예, 무도 개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틀
본문내용
우리 사회에서 무술이나 무예, 또는 무도에 관한 논의가 최근 들어 조금씩 활기를 띄고 있다.
전통무예에 대한 관심이 미약하나마 일부 청소년층과 대학에서 고조되고 있으며 대중매체를 통해서도 간간이 소개되고 있다. 용인대학교와 경희대학교의 선구적 역할에 힘입어 국내 다수의 대학들이 태권도학과의 개설을 서두르고 있으며, 일부대학에서는 무도학과의 개설을 추진하고 있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대학의 무도관련 학과의 개설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 대한 이론의 축적은 극히 미진하여 각 대학은 그 교과과정의 체계는 물론 방향성마저도 설정하지 못하고 대개의 경우 실기는 전공영역을, 이론은 체육학에 의존하는 형태로 꾸려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후진성은 기본적으로 우리 사회에서 무술, 무예, 무도에 관한 논의가 제한적이고 주변적이란 현실을 그 원인으로 하고 있다. 첫째 제한적이란 말은 무술, 무예, 무도에 관한 논의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또 여기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극히 제한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이 분야를 전공하는 소수의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역사나 예능등 전통문화에 관련된 분야로부터의 관심은 거의 찾아볼 수 없고, 체육학 영역에서조차 이 분야에 관심을 기울이는 연구자를 찾아보기는 그리 쉽지 않다. 둘째 주변적이란 말은 무술, 무예, 무도에 관한 담론들이 체육계나 체육학계, 그리고 한국학 또는 전통문화 영역에서 중심이 되지 못하고 주변적으로 취급되고 있다는 말이다.
참고 자료
무도론(김정행, 김상철, 김창룡 공저),1997,대한미디어
우리무예 익히기:다시찾은 수벽치기(육태안),1991,학민사
삶의 무예:바르고 강한 무예에의 길(양종언),1992,학민사
무예사 연구(임동규)1991,학민사
무예도보통지(해제:심우성,실연:김광석),1993,동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