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환경재난
- 최초 등록일
- 2000.07.13
- 최종 저작일
- 1997.01
- 10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Ⅰ서론
Ⅱ본론
Ⅲ결론
본문내용
Ⅰ서론
◎ 환경재난
인류가 처음 환경재난을 겪게 된 것은 정착 생활을 시작한 신석기 시대라고 추정한다. 이곳 저곳 옮겨다니며 살아가던 유목 생활과는 달리 정착 생활은 주위 환경을 관리 해야 했고,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했을 때는 어김없이 찾아오는 환경 재난을 겪어야 했다.
21세기 이후에 찾아온 환경재난은 단순히 위생관념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 전염병과 같은 과거의 재난과는 성격과 규모에 있어서 판이하게 다르다. 핵 발전소가 붕괴하고, 유조선이 좌초되어 수백만톤의 원유를 바다에 토해내고, 유독성 화학물질이 수백만 인구가 의존하는 상원을 오염시키고, 독가스가 누출되어 일시에 수천명의 생명을 앗아갔다. 이 시대에 우리가 겪고 있는 환경재난은 쉽게 멈추어질 것 같지 않다.
지구 환경재난의 문제는 과거 인류가 전혀 경험해보지 못했던 새로운 환경으로 우리를 내몰고 있다.
Ⅱ본론
◎ 지구 온난화 가속…소군도가 사라진다
남태평양과 인도양의 아름다운 섬들이 가라앉고 있다. 지구온난화 때문이다. 이들 소(小)군도들로 이루어진 나라는 면적이 좁고 육지와 해수면과의 차이가 거의 없어 수면이 올라가면 국토 전체가 바다속에 잠길 수밖에 없다. 호주 북동쪽 2천㎞ 지점에 위치한 면적 20㎢, 인구 1만1천명의 소국 투발루 공화국은 16일 `1급 국가비상사태` 를 선포했다. 기상대 예측대로라면 이번 주말(19~20일)에 국토의 대부분이 바닷속에 잠기게 되기 때문이다. 수도 푸나푸티내 국립기상대는 15일 "해수면이 꾸준히 올라가 19일 오후 5시3분(한국시간 오후 2시3분)쯤엔 최고 높이인 해발 3.2m까지 올라간다" 고 경고했다. 기상대는 "20일 오후 5시44분에야 정상 수면(현재 해발 2.3m)으로 되돌아 온다" 고 예측했다.
.
.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