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학]도시지리학 3장 요약문
- 최초 등록일
- 2000.06.24
- 최종 저작일
- 1997.0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제3세계의 도시성장
2. 경제발전
3. 도시화의 기원
4. 불법주택 지구
본문내용
ꋮ 제3세계를 비롯한 개발도상국에서의 도시성장 : 개발국과는 다른 문화와 경제환경속에서 진행 → 의사도시화 혹은 가도시화
※ 의사도시화 : 도시가 팽창하에 따라 중산층의 시장을 발전시킬 수 있는 광범위에 걸친 직업 또는 기회의 팽창이 수반되지 않으며 도시화는 서구의 도시와 같이 역동적인 경제와 공업이 견인차인데 반해 인구적인 힘, 특히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 이동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인해 도시화가 일어난다는 것
ꋮ 현대에 들어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도시 : 아시아의 인도를 포함해 제3세계의 125여 개의 도시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음.
1. 제3세계의 도시성장
ꋮ 절대규모의 가파른 팽창을 보임 → 도시계획상 무질서하게 전개된 대도시권을 보임 → 각종 도시문제를 야기
cf> 제2세계 : 소련이나 중국의 영향력하에 있던 중앙계획경제국가들
제3세계와 유사한 상황이나 빠른 성장을 보이지 않음 ← 독점권력을 통 한 농촌개발과 제2중심지의 성장에 비중을 두었고 대도시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제한
실례) 한반도의 남북한의 상황 : 1980년 서울 - 3700만, 평양 - 200만 이하
2. 경제발전
ꋮ 도시화 후 개발도시화지역의 빈곤, 기술과 고유한 기술 진보의 결여, 낮은 교육수준
: 농민들의 도시 이주에 따른 급속한 인구 증가에 기인
↳ 농촌 : 농업 외에는 생계비를 벌 기화가 거의 없음.
도시 : 수입을 적으나 다른 선택적 기회가 존재
→ 농가들의 도시로의 전입 압박으로 비숙련자의 저임금구조가 지속
2.1 이중경제 구조
ꋮ 이중경제 : 비공식 부문인 바자 경제와 공식 부문 또는 자본주의적 부문이 함께 공존하는 상태
ꋮ 공식 부문 : 제조업 활동과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소매업이나 서비스 활동, 고임의 전문가들이나 공무원
ꋮ 비공식 부문 : 밑천이 거의 들지 않거나 들더라도 미미한 1인 경영의 영세 규모의 활동
ꋮ 제조업이 적절한 고용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는데 대한 이유
a. 제3세계의 산업들은 주로 노동력 투입이 많지 않은 자본 집약적인 첨단 기술이 기본 → 제조업의 확대가 공식 부문의 고용 성장을 가져오지 않음
b. 정부 정책상의 문제 : 공식 부문에서 최저 임금을 높게 책정 → 임금이 고용 확대에 걸림돌이 됨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