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지리학]도시지리학 1장
- 최초 등록일
- 2000.06.24
- 최종 저작일
- 2000.06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정보화시대
2. 도시문제
3. 왜 도시지리학이 필요한가?
4. 도시란 무엇인가?
5. 도시지리학의 진화
6. 도시지리학의 주제
본문내용
제 1 장 오늘날의 도시지리학
1. 정보화시대
1990년대의 후기 산업사회는 정보화시대이다. 대부분의 정보는 분산되어 있고 전문적인 것이어서 이를 다루고 교환할 수 있는 집적의 경제(빌딩, 통신시설, 교통, 전문인력)가 있는 곳이 대도시이다.
2. 도시문제
사회․경제적 조건에 따라 도시들 내부와 도시간에는 현저한 격차가 발생한다.
선진국: 제조업 시대의 공업기반 도시에서 정보화 시대의 서비스 기반도시로의 전환 → 실직, 도시 내부의 쇠퇴
개발도상국: 고용기회 제한
3. 왜 도시지리학이 필요한가?
도시의 입지, 기능, 성장, 공간구조, 내부구조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지식제공
입지와 공간을 강조하고 관찰된 패턴들이 나오게 되는 과정을 연구
오늘날의 도시지리학: 물리적 개발, 지역공동체 개발 계획과 자문, 시장연구, 부동산 개발, 역사적 지구의 보존, 환경관리 분야에 참여
4. 도시란 무엇인가?
도시의 정의: 도시는 상당한 규모의 인구와 주거 및 기타 인공적 요소가 고도로 밀집한 장소로서 주로 비농업적 활동에 기초한 기능과 이질적 사회요소가 다양하게 구성된 인간정주공간
4.1 도촌연속론
도촌연속체의 양 끝에서 촌락과 도시를 구분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경계를 정하기는 어렵다.
도시에 대한 최소 인구 규모는 국가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국가간 도시인구 통계의 비교는 어렵다.(한국: 시급도시-5만이상, 읍급도시-2만이상)
일반적으로 도시는 행정시(legal city)와 지리적 시(geographic city)로 구분
truebounded city(실제경계도시)-행정시의 경계와 지리적 시의 공간범역이 일치하는 경우의 도시
overbounded city(과대경계도시)-지리적 시의 발달범역이 행정시의 경계에 못 미치는 도시
underbounded city(과소경계도시)-행정시계를 넘어서 실제의 도시지역이 발달한 도시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