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성경의 권위
- 최초 등록일
- 2000.06.23
- 최종 저작일
- 1997.0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성경의 권위란 무엇인가? 1
제2절 하나님에 대한 지식의 근본으로써의 성경 1
제2장 성경에 대한 태도들 1
제1절 로마 카톨릭의 태도 1
제2절 개신교의 태도 2
2.1 루터의 태도 2
2.2 칼빈의 태도 3
2.3 종교개혁의 신조들 4
2.3.1 제일 스위스 신앙고백(1536) 4
2.3.2 제네바 신앙교리(1537) 4
2.3.3 프랑스 신앙고백(1559) 4
2.3.4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 4
2.3.5 벨직 신앙교리(1561) 5
2.3.6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5
제3절 현대 신학의 태도 5
3.1. 자유주의 신학 4
3.1.1 슐라이에르마허 5
3.1.2 스트라우스 5
3.2. 신정통주의 신학 5
3.2.1 칼 바르트 5
3.2.2. 루돌프 불트만 5
3.2.3 폴 딜리히 5
제3장 결론 6
제1절 성경의 내적 증거 6
제2절 성경의 외적 증거 7
본문내용
제1장 서론
제1절 성경의 권위란 무엇인가?
성경의 권위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권위(權威, authority)의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국어사전에서는 권위를 ‘절대적인 것으로써 남을 복종시키는 힘’으로 정의하며 성경에서는 권능이라는 의미와도 같이 쓰였다. 시편 93편 1절, 104편 1절, 디도서 2장 15절, 유다서 1장 8절
또, ‘어떤 분야에서 능히 남이 신뢰할 만한 뛰어난 지식이나 기술, 또는 실력’이라고 정의한다.
기독교 사전에서는 ‘타(他)에 의해 가치적으로 우월해 있음이 사회적으로 승인되고 그것을 복종할 수 있는 사회적 영향력으로 직분 등에 의해 주어지는 외적 권위와 도덕적이고 영적인 힘에 의해 주어지는 내적 권위가 있다.’라고 정의하는데 후자가 성경의 권위이다. 일반적으로 성경에는 권위와 권력이 동의어로 사용되나 권력은 사람들이 그 정당성을 승인해야 권위가 된다. 따라서 권위란 ‘정당성을 획득한 권력’이다. 성경에는 하나님만이 홀로 참된 권위를 갖고 있고, 그 외의 모든 권위는 이 일차적 권위에 종속되며 그 위임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요한복음 19장 11절, 로마서 13장 1절
따라서 성경의 권위는 ‘성경이 정확 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이다’라는 전제 아래서 신적 권위를 갖는다.
제2절 하나님에 대한 지식의 근본으로써의 성경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어디에서 얻을 수 있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서 성경이라고 대답하지 않을 기독교인은 한 명도 없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기독교 신학에서는 하나님에 관한 교리인 신론(神論)을 다루기 전에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지식의 근원인 성경을 다룬다.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서 제 1장 1항
.
.
.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