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 전기소설의 풍자성 연구
- 최초 등록일
- 1999.11.05
- 최종 저작일
- 1999.11
- 3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第 一 章 序 論 1
第 二 章 諷刺의 槪念 3
第 一 節 諷刺의 目的 3
第 二 節 諷刺의 語調 3
第 三 節 諷刺의 對象 4
第 四 節 諷刺와 小說의 연관성 5
第 三 章 傳寄作品의 諷刺性 考察 6
第 一 節 政治에 대한 諷刺; <東城老父傳> 6
1. 背 景 (1) 中興의 사건 6
(2) 鬪鷄의 盛行 7
(3) 安祿山의 亂 7
2. 構 成 8
3. 人 物 9
4. 諷刺의 語調 (1) 조롱적 어조 10
(2) 아이러니적 어조 10
(3) 질책적 어조 11
第 二 節 封建禮法에 대한 諷刺; <李娃傳> 12
1. 背 景 12
2. 構 成 13
3. 人 物 15
4. 諷刺의 語調 (1) 조롱적 어조 18
(2) 질책적 어조 19
第 三 節 立身榮達에 대한 諷刺; <南柯太守傳> 19
1. 背 景 19
2. 構 成 20
3. 人 物 21
4. 諷刺의 語調 조롱적 어조 22
第 四 章 結 論 25
參 考 文 獻 27
본문내용
唐代의 傳奇小說은 진정한 의미에서 볼 때, 中國小說의 始初로서 諷刺의 어조적인 면에 있어서는 아직 미흡하다고 하겠으나, 그 諷刺的인 構成이나 人物設定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의 수준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中國小說史에서의 諷刺性은 미흡하나마 唐代 傳奇小說에서 어느 정도 骨格을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 當時의 모순들을 시정하려는 것으로써, 諷刺性이 文學作品에서 使用되고 있어, 모순들을 打破하고자 하는 노력이 여러 방면으로 시도되고 있음을 이 硏究를 통해 알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