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화이트칼라 노동자의 집합행동에 관한 연구
- 최초 등록일
- 1999.11.02
- 최종 저작일
- 1999.11
- 9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I.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3. 논문의 구성
II. 총파업의 전개와 화이트칼라 노동자 동원의 추이
1. 총파업의 전개과정
2. 화이트칼라 노동자 동원의 추이분석
III. 정치적 상황과 집합행동의 기회요인
1. 기회와 집합행동
2. 억압과 기회의 메커니즘
IV. 고용이슈와 화이트칼라 노동자의 집합행동
1. 이익과 집합행동
2. 화이트칼라 노동자의 집합행동의 추이
3. 고용이슈와 화이트칼라 노동자의 민감성
V. 민주노총의 리더쉽과 화이트칼라 노동자의 동원
1. 조직화와 집합행동
2. 민주노총 조직과 화이트칼라 노동자 집합행동
3. 민주노총의 정치적 지위와 리더쉽
VI. 결론
본문내용
이제까지 화이트칼라 노조들은 또한 몇몇 특수한 사례를 제외하고는 직접적인 파업행위에 가담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97년 1월 총파업의 경우에 있어서는 화이트칼라 노조가 그 환경의 제약 속에서도 강력한 저항을 행함으로써 앞으로의 사회변동과 노동운동에 있어서 그들의 역할에 대한 재평가가 요구되어진다. 넷째, 97년 1월 총파업은 이전의 조직노동운동의 한계를 극복하고 화이트칼라뿐만 아니라 모든 조직노동자들이 연대파업의 성격을 갖는다는데 있다. 또한 총파업이 27일 동안 지속됨으로써 정부여당이 입법을 취소하는 일정한 성과를 가져왔다는데 또다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