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 시대의 방송소프트
- 최초 등록일
- 1999.10.30
- 최종 저작일
- 1999.10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1. 서론
2. 미디어의 폭발과 정보선택의 한계성
2.1 미디어의 "BIG BANG"은 전송수단의 폭발
2.2 정보공간의 팽창과 유영문화 - "NEW SURFING"
2.3 과도한 정보와 "좋아서 선택" 행동
3. 열쇠를 쥐고있는 "시간과 금전과 흥미"의 분배
3.1 제약조건 규정형 정보선택의 매크로모델
3.2 신문 1면의 뉴스항목은 왜 [9±2]인가
3.3 "시간·금전·흥미"에는 한계
3.4 시청자의 정보선택에는 법칙성이 있다
4. 시장원리와 시청권의 형성
4.1 시장원리와 較差(차이) 구조
4.2 지불방식과 시청권의 형성
4.3 浮動的 均衡형 매스미디어 모델
4.4 시청률 추구형 프로그램과 개인 유료형 페이 프로그램
5. 인간은 정보를 계층화·서열화한다
5.1 기억·상기 수준에 의한 정보의 서열화 원리
5.2 "도약력있는 편성" "돈이 되는 소프트"의 필연
5.3 방송은 3가지 방향으로 분화·변용한다
6. TV는 어떻게 진화할까?
6.1 TV미디어의 역사
6.2 <시각중추신경 = 뉴론·비전>
6.3 個衆지향 ACCESS형 방송으로 진화
7. 5가지 전쟁
7.1 사업체간 전쟁
7.2 TV계 문화와 퍼스컴계 문화
8. 사회적 시스템으로서의 멀티미디어형 방송
8.1 시스템이 결정돼야 서비스 내용도 결정된다
8.2 ISDB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8.3 ISTV (Integrated Services TeleVision) 단말의 제안
8.4 멀티미디어 제작과정에 응용
9. 결론
미디어와 정보처리능력의 매칭
어떻게 시민의 TV를 만드는가
본문내용
멀티미디어 시대가 되어도 인간 자체가 변할 리 없다. 일반인이나 기업이 요구하는 정보의 적당한 용량은 결국 현재의 TV·전국지·전문지·주간지 등이 취급하고 있는 일반적인 정보량이나 영역 정도일 것이다. 또, 사람들이 추구하는 정보양식은 인간의 정보처리 한계성으로 규정되며, 다양한 패턴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이 하루에 소화해낼 수 있는 정보량에는 한계가 있으며, 그것을 여러 미디어가 분담해서 유통시키고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도 미디어와 인간의 정보처리 능력은 결과적으로 잘 매칭되어 왔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