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을 위한 도시 만들기
- 최초 등록일
- 1999.10.27
- 최종 저작일
- 1999.10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도시만들기
1. 공공장소에서 일어나는 세 가지 활동유형
2. 공공장소의 세가지 기능
3. 도시의 세가지 유형
3. 사례연구 : 덴마크 코펜하겐
미래지향적인 인간 도시를 기대하며
본문내용
지금까지 얀겔 쇼구의 분석을 통해 교통도시와 상업도시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만남의 도시'라는 대안적 도시유형을 이해하고 실제로 코펜하겐시의 도시개발과정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만남의 도시를 어떻게 만들어갔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얀겔교수의 강연내용에서 코펜하겐기에 대한 사례분석이 시사적이었다고 생각하는데, 코펜하겐시를 만남의 도시로 만든 수단이었던 보행지역화 정책 자체에도 의의가 있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도시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시민들의 행태와 삶의 질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방법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조사방법은 코펜하겐기의 34년간의 도시개발과정 속에서 가다듬어져온 것으로서, 이미 코펜하겐 이외에 다른 여러 나라들의 도시계획에도 사용된 바 있다(1987년 노르웨이의 오슬로(Oslo), 1990년에 스웨덴의 스톡홀롬(Stockhlom), 1993년에서 1994년 사이에 호주의 퍼스(Perth)와 멜보른(Melboune)에서 이 방법으로 조사를 하였다). 인간적인 도시를 꿈꾸는 사람들은 과게에도 있었고 현재에도 많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