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이 오르면 물가가 오른다는 주장에 대하여
- 최초 등록일
- 1999.10.26
- 최종 저작일
- 1999.10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임금이 오르면 물가가 오른다'는 주장에 대하여
생산성 범위내에서 임금인상이 이루어 져야 한다는 주장에 대하여
`기업의 경영상태가 어려워 임금을 올려줄 수 없다'는 주장에 대하여
'우리나라 노동자의 임금이 높아 국제경쟁 력을 약화시키고있다'는 주장에 대하여
무분별한 노사분규 때문에 수출이 부진하다"라는 주장에 대하여
이른바 '인사.경영권 침해'하는 주장에 대하여
무노동 무임금에 대하여
본문내용
상품가격이 1백 원이고,생산수단의 가격은 70원,임금은 10원,이윤은 20원 이라고 할 때 임금을 20% 인상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만약 기업이 자유경쟁 상태에 있다면 임금이 올랐다고 해서 그 기업 마음대로 상품의 가격을 인상할수 없는것은 당연한 이치 입니다.
가격을 올렸다가는 소비자들이 가격을 올리지 않은 다른 기업의 물건을 사게 될것 이며, 얼마 안가서 이회사는 문을 닫게 될것 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임금이 20% 인상되어 10원이 12원이 된다고 해도 상품의 가격은 1백 원, 생산수단의 가격은 70원으로 변함없고, 이윤이 20원에서 18원으로 줄어 들게 됩니다.
결국 임금이 오른다고 해서 상품의 가격(물가)가 오르는것이 아니라 기업주의 이윤만 그만큼 줄어 드는것입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