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관리
- 최초 등록일
- 1999.10.12
- 최종 저작일
- 1999.10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1. CALS 란?
2. CALS의 발전
3. CALS의 내용
4. CALS의 적용 범위
5. CALS의 목표
6. CALS구현에 따른 고려 사항
7. CALS 적용의 이점 및 기대효과
8. CALS의 구체적 효과
9. CALS에서의 재고 관리의 역할
본문내용
버블 붕괴 후의 일본 경제가 오랜 침체를 벗어나지 못한 원인은 과잉 설비와 대량의 재고를 처리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것이 다시 새로운 투자를 꺼리게 만드는 식의 악순환을 빠진 데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요컨대, 재고만 줄이면 기업은 활력을 되찾을 수 있다. 재고를 줄이는 최선의 대책은 어떻게 해서든 자꾸 팔리는 상황을 조성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장 동향을 상세히 체크해서 팔릴 수 있는 타이밍에 물건을 투입하는 것이다. 더욱이 수주에서 납품까지 걸리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해야만 한다. CALS는 이 두가지 상황에 다 적합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EDI정보가 리얼 타임으로 시장동향과 수주 정보를 전달, 쓸데 없는 재고를 쌓아 두는 일 없이 상품을 공급하게 해 준다. 한편으로는 CAD데이터의 공유가 개발시간을 단축시키고 시장이 원하는 상품을 시의적절하게 투입할 수 있게 한다. 상품 과잉 시대에 신제품의 수명이 점차 단축되고 있는 판에 CALS가 ‘재빨리 한몫 챙기고 재고 없이 철수 한다.’는 효율적인 기업 활동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