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 in Space
- 최초 등록일
- 1999.02.09
- 최종 저작일
- 1999.02
- 9페이지/
텍스트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없음
본문내용
다음의 레포트는 필자가 학부때(94년 10월) 경제지리학(지도교수:
이철우) 수업에서 제출한 것으로 "Location in Space"(Peter dicken과
Peter E. Lloyd)의 Introduction부분을 완역한 것입니다. 필자가 그
당시에 영어실력이 일천했기 때문에 번역이 매끄럽지 못합니다. 하지만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도입 : 경제지리학에 대한 전망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이 정확한 설명을 하기에 벅차기는
하겠지만 경제학자가 무엇을 한다는 것에 대해 적어도 일반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경제지리학자가 무엇을 한다는 것에 대해 많은
사람들의 인식 또한 그렇다고 할 수 없다. 경제지리학을 전공하는
우리들은 종종 이런 질문을 듣게 된다. ?정확히 경제지리학자가 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또는 ?경제지리학은 경제학과 어떻게 다르죠?? 그런
질문에 답하는 것은 단순히 자기합리화를 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경제지리학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복잡한 세상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그리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데 독특하고 의미 있는 역할을 가진다는
점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것이다. 경제지리학자 특유의
조망은 정부나 많은 사업의 부문에 아주 가치 있는 공헌을 해왔고
그렇게 계속 해 나가야 한다. 여기 도입부에서 주안점중의 하나는 위에
제시한 질문에 답하는 것이다. 다른 주안점은 우리가 나아가려고 하는
계획의 방향을 그려보기 위해서 이 책에서 취하고 있는 접근방식의
대요를 말하는 것이다. 경제지리학자와 경제학자 모두 특정한 주제들에
있어서 공통의 관심사를 공유하고 있다. 둘 다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생산, 분배 그리고 부의 소비(주로 물질적인 부)에 관심을 두고 있다.
하지만 두개의 학문이 그런 과정상에 있어서 공통된 관심을 두고 있지만
두개의 학문은 특유의 전망이나 견해에 의해서 서로 구별되어진다.
어쨌거나 경제지리학자의 특유한 전망에 대해서 논의하기전에 일반적인
경제체제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