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의 세계경영
- 최초 등록일
- 1999.02.09
- 최종 저작일
- 1999.0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없음
본문내용
몇 년전만 해도 한국 경제는 후발 개도국들에게는 선망의 대상, 그리고 선진국들로부터는 경계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현재 한국 경제의 현실을 보면 위기감이 팽배해지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96년의 우리나라 경상수지 적자가 사상 초유인 2백 30억 달러에 이르렀으며, 외채는 1천 1백억 달러에 달해 대외 신용도를 떨어뜨리고 있다. 과거 우리나라의 연간 수출 실적의 증가율이 30%를 상회했던데 반해, 지난해부터 수출 신장률은 급격히 낮아지고 있다. 앞으로도 수출 신장은 고사하고 수출이 하향 곡선을 벗어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다가는 우리 경제에 대한 위기감이 현실화되고 말 것이라는 위기감마저 든다. 이러한 경제 위기의 한 해결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해외 투자이다.
一國의 해외투자는 자원 확보, 생산 비용 절감, 현지 시장 개척, 기술 습득 등 각각의 목적에
따라 진행된다. 특히 최근에는 국가간의 무한 경쟁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최적의 기업 경영 전
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해외 투자는 68년 한국 남방 개발의 인도네시아에 대한 삼림
개발투자를 효시로 현재는 100억달러가 넘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우리 경제
는 계속된 국내 생산 여건 악화로 경쟁력은 더욱 소실되었고 그 범위도 점차 부가가치 산업으로
까지 확대되었다. 밖으로는 93년 NAFTA가 발효, EU탄생, 95년 WTO출범 등으로 세계적인 글
로벌화와 지역별 블록화 현상은 더욱 심화되면서 이제는 중소기업, 대기업을 불문하고 해외 시장
으로 나가지 않고는 생존하기가 어려운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도 해외 투자의 불
가피성을 절실하게 인식하고 94년 12월에는 투자 제한 제도를 네가티브 시스템으로 전환하였다.
이로 인해 투자 절차가 대폭 간소화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