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기술이 혁신적으로 발전하고 시장의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제품의 수명주기가 단축되고 기업간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다 (Wind and Mahajan 1997). 이러한 경영환경 아래서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서 성공적인 신제품을 출시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제라 하겠다 (Page 1993). 실제로 1990년대로 접어든 이후 기업의 신제품 개발활동은 과거보다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어오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1995년 현재, 과거 5년 간 출시된 신제품의 매출이 1995년까지의 총 매출의 32%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비율은 계속적으한국․미국․일본의 신제품 성공요소에 관한 연구
로 증가할 것이라는 보고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Mishra, Kim and Lee 1996).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출시하는 신제품이 시장에서 성공할 확률은 높지 않은 편이다(Boulding, Morgan and Staelin 1997, p. 164).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출시되었던 신제품의 성공확률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대체로 10%이하로 매우 낮은 수준이라는 보고가 있었다 (나종화․이준희 1997). 그러나 신제품의 개발과정 및 출시, 출시시기에 대한 의사결정은 기업의 사활을 좌우하기도 하는 매우 중요한 의사결정이 아닐 수 없다(Uttterback 1974). 따라서, 신제품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정확히 밝혀낼 수 있다면 신제품 개발에 따른 위험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효과적인 신제품 개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박흥수․하영원 1997, p. 19).
신제품의 성공요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들은 과거 20여 년 동안 주로 미국을 비롯한 북미지역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행되어 왔고 (Atuahene-Gima 1996), 최근에는 일본, 미국 및 유럽 기업들의 비교연구를 통해서 시장 특성별로 신제품의 성공요인이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Song and Parry 1992, 1994, 1997; Souder, Buisson and Garrett 1997; Mishra, Kim and Lee 1996). 그러나, 세계경제에 있어 한국이 차지하는 위치에 비교하여 한국시장에서의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및 신제품 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더구나 미국이나 일본 등의 기업들과 한국기업을 비교하여 신제품 개발 과정 및 성공요인을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산업수준과 경제특성을 지니고 있는 한국, 미국, 일본간의 신제품 성공요인과 국가간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비교해 봄으로써 신제품의 성공요인의 국가간 차이와 그 원인을 밝혀보고자 한다.
· 1). 나종화․이준회 (1997), 마케팅 길라잡이, 청림출판사.
· 2). 박흥수․하영원 (1997), 신제품 마케팅, 학현사.
· 3). Achrol, Ravi S. (1991), "Evolution of the Marketing Organization: New Forms for Turbulent Environments," Journal of Marketing, 55 (October), 77-93.
· 4). Atuahene-Gima, Kwaku (1995),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Impact of Market Orientation on New Product Performance A Contingency Approach,"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12 (4), 275-293.
· 5). Atuahene-Gima, Kwaku (1996), "Differential Potency of Factors Innovation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and Services Firms in Australia,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13 (1). 35-52.
· 6). Boulding, William, Ruskin Morgan, and Richard Staelin (1997), "Pulling the Plug to Stop the New Product Drai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 (February), 164-176.
· 7). Cooper, R. G. (1979), "Identifying Industrial New Product Success: Project NewProd,"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8 (2), 124-135.
· 8). Cooper, R. G. (1994), "Perspective Third-Generation New Product Proces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11 (1), 3-14.
· 9). Cooper, R. G. and E. J. Kleinschmidt (1987), "Success Factors in Product Innovation,"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16 (3), 215-223.
· 10). Cooper, R. G. and E. J. Kleinschmidt (1993), "Major New Products: What Distinguishes the Winners in the Chemical Industry,"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10 (1), 90-111.
· 11). Day, George S. (1994), "The Capabilities of Market-Driven Organizations," Journal of Marketing, 58 (October), 37-52.
· 12). Deshpande, Rohit, John U. Farley, and Frederick E. Webster, Jr. (1993), "Corporate Culture, Customer Orientation, and Innovativeness in Japanese Firms: A Quadrand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57 (January), 23-37.
· 13). Dwyer, Larry and Robert Mellor (1991), "Organizational Environment, New Product Process Activities, and Project Outcome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8 (1), 39-48.
· 14). Fortune (1998), "The World`s Most Admired Companies," Fortune, October 26, 1998.
· 15). Griffin, Abbie, and John R. Hauser (1992), "Patterns of Communication Among Marketing,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A Comparison Between Two New Product Teams," Management Science, 38 (March), 360-73.
· 16). Han, Jin K., Namwoon Kim, and Rajendra K. Srivastava (1998), "Market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Innovation a Missing Link?" Journal of Marketing, 62 (4), 30-45.
· 17). Houston, Franklin S. (1986), "The Marketing Concept: What It Is and What It Is Not," Journal of Marketing, 50 (April), 8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