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울산 영축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제작시기와 성격 (The Production Time and Characteristic of the Buddhist Crafts excavated at Yeongchuksa Temple site, Ulsa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9.10
18P 미리보기
울산 영축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제작시기와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8권 / 637 ~ 654페이지
    · 저자명 : 이용진

    초록

    2015년 울산 율리 영축사지 4차 발굴에서는 청동삼족향로와 청동완, 청동시루 등이 발견되었다. 청동시루가 외용기의 역할을 하며, 그 안에는 청동완과 청동삼 족향로가 들어 있었다. 1980년대 이후 현재까지 수많은 사찰터에서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의 불교공예품이 출토되었는데, 이들 공예품들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땅속에 매납되었다. 매납 방식은 외용기 안에 포갤 수 있는 작은 기명들을 중첩하고, 그 위로 다른 기명들은 쌓는 방식을 따르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인각사지 출토 통일신라의 불교공예품에서 확인되고 있어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영축사지 불교공예품들은 11세기전반에서 12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 되는데, 청동삼족향로의 경우 고려 향완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기형으로 11세기 전반으로 볼 수 있다. 청동완은 뚜껑 있는 청동향로나 청동합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사뇌사지 청동향로의 편년을 참고로 11세기전반에서 12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청동시루는 사뇌사지나 춘궁동 출토품과의 비교를 통해 손잡이의 결합방식이 같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축사지 출토 청동완을 비롯해 하남 춘궁동 출토 청동완, 서울 도봉서원 출토 청동완은 윤형굽의 일부를 의도적으로 변형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사찰터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불교공예품은 일정한 과정을 거쳐 매납한 것으로 생각되며, 그것이 진단구일지 퇴장유물일지 아니면 불교공예품의 폐기와 관련된 것일지는 보다 깊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영축사지 불교공예품을 비롯해 청주 사뇌사지, 경주 굴불사지, 완주 화엄사지 등에서 출토된 불교공예품들에는 고려시대 향완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볼 수 있는 청동향로와 청동삼족향로 등이 11세기에서 12세기에 제작된 香具들이 출토되는 것도 특징이다.

    영어초록

    In 2015, the fourth excavation of the Yeongchuk Temple site in Yuli, Ulsan, found bronze incense burner, bronze bowl and bronze rice steamer. The steamer functioned as an external container, and there were a bronze bowl and a bronze triangular censer.
    Since the 1980s, Buddhist artifacts have been unearthed from many temple sites including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periods, and these crafts were buried i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regular rules. The way to bury the earth overlays the small vessels that can be laid in the outer containers, and the other vessels on top of them. Such a method is confirmed in Buddhist artifacts of excavated from Ingaksa temple site of Unification Shilla, and it can be seen that it lasted from Unification Silla to Koryo.
    It is believed that Buddhist artifacts excavated from Yeongchuksa temple site were produced in the first half of the 11th century and around the 12th century. In the case of the bronze incense with three legs, it can be seen as the first half of the 11th century as a transitional vessel type to Goryeo Hwanwan.
    The bronze bowl may have been a bronze incense burner with a lid or bronze bowl with a lid, and it is believed to have been made from the first half of the 11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2th century. It was confirmed that the bronze rice steamer had the same coupling method of the handle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excavation materials from the Sanoesa temple site and Chungundong.
    Bronze bowls from Yeongchuksa temple, Chungundong, Sanoesa temple site were found to have intentionally modified parts of the foot. In addition, Buddhist artifacts excavated from Yeongchuksa temple site, Sanoesa temple site, Gulbulsa temple site, and Hwaeomsa temple site included bronze incense burner and bronze incense with three legs, which can be seen during the transition to Goryeo Hwangw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