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술품 경매회사의 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 – 미술품 재판매 보상청구권 도입 이후 「미술진흥법」 개정방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egal Responsibility of Art Auction Companies: Focusing on the Direction of Revision of the 「Art Promotion Ac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Right to Claim Compensation for Resale of 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4.09
33P 미리보기
미술품 경매회사의 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 – 미술품 재판매 보상청구권 도입 이후 「미술진흥법」 개정방향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홍익법학 / 25권 / 3호 / 455 ~ 487페이지
    · 저자명 : 박정인

    초록

    2023. 7. 25. 제정된 「미술진흥법」의 시행이 2024. 7. 26에 시행되었다. 「미술진흥법」 의 시행에서 가장 기대되는 것은 바로 제24조 내지 제26조 “미술품 재판매에 대한 작가보상금” 규정이 미술품 시장에 도입된 이후 미술품 시장이 어떻게 달라질까 하는 부분이라 할 것이다.
    그동안 미술품을 판매해 온 화랑, 미술품 경매회사는 미술품 재판매 보상청구권이 그리 달갑지만은 않은 모양이다. 화랑의 경우 자신이 정해둔 그림을 사러 가는 고객이 많고, 소수의 거래에 지나지 않지만 미술품 경매회사는 다수의 미술품을 입찰하고 판매하기 때문에 재판매보상청구권 도입으로 미술품 가격에 부담을 느낀 고객이 재판매보상청구권을 도입하지 않은 국가의 미술품 경매회사 입찰장으로 발걸음을 돌릴까 우려하고 있다.
    미술품 경매회사는 재판매보상청구권으로 인해 예술가와의 관계가 강화될 수도 있고, 이미 재판매보상청구권이 도입되어 있는 국가의 유명작가들도 한국 미술품 거래와 자기 국가에서 미술품 거래의 법제가 같아졌기 때문에 한국 미술품 시장에도 자신들의 작품을거리낌없이 입찰 제안하여 우리 미술품 경매회사의 입찰장에 재판 매보상청구권을 원하는 유명작가의 작품이 쏟아져 들어와 새로운 작가들의 작품도 판매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기존 재판매보상청구권이 도입되어 있는 국가는 이미 마련되 어 있는 여러 가지 제반 사항이 우리나라는 현재 준비되어 있지 않아 한국 미술시장의 경쟁력을 보여주기 쉽지 않다는 것도 사실이다. 예를 들어 진품 확인에 대해 연구하는 교육기관과 다양한 전문가들의 감정기관이 부족하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미술 품 보험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아서 결국 미술품 분야에 분쟁이 발생하면 해외 감정기 관의 도움을 받아야 할 뿐 아니라 이러한 위험 관리를 위해 미술품 경매회사가 추천해줄 수 있는 보험도 해외 미술품 보험을 활용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미술품 거래 시장에서 재판매보상청구권으로 이득을 얻을 작가들은 대개 기성 작가와 그 상속자들이라서 이미 그들은 미술 산업에서 취약한 지위에 있지 않은 1%이기 때문에 재판매보상청구권이 굳이 필요한가라는 회의감이 있고(미술품 의 재판매가가 500만원 이상일 때 재판매보상청구권이 성립) 해외 유명작가의 미술 품을 주로 거래해주게 되어 국내 작가들의 미술품 거래에는 거의 이득이 없을 것이 라는 고민도 있다. 최근 우리나라는 웹툰 등 디지털 아트를 즐겨 하는 인구가 증가하 고 생성형 AI 소프트웨어 개발 등으로 인해 한국의 미술교육 기초가 흔들린다는 지적도 받고 있어 우리나라 작가의 작품 가격이 상승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불확실한 미래이다.
    특히 미술품 경매회사는 기존에 해왔던 입찰과 미술품 판매 외에도 기록을 더 자세히 관리하고 이를 정리하는 행정 업무가 증가하는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인력과 자원의 부족으로 당분간 어쩌면 꽤 장기간동안 운영 효율성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재판매보상청구권 도입으로 미술품 경매회사의 법적 책임을 구체 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지원해 주기 위해 향후 미술진흥법이 지원해 주어야 할 개정방향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영어초록

    The “Art Promotion Act,” enacted on July 25, 2023, came into effect on July 26, 2024. What is most expected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Art Promotion Act」 is how the art market will change after Articles 24 to 26 “Artist Compensation for Resale of Art Works” regulations are introduced into the art market.
    It seems that galleries and art auction companies that have been selling art are not very happy about the right to claim compensation for resale of art. In the case of art galleries, there are many customers who go to buy the paintings they have chosen, and it is only a small number of transactions, but art auction companies bid and sell large numbers of artworks, so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resale compensation claim right, customers who feel burdened by the price of the art work have the right to claim resale compensation. There are concerns that people will turn to the bidding halls of art auction companies in countries that have not introduced the system.
    Art auction companies may strengthen their relationships with artists due to the right to claim resale compensation, and famous artists in countries where the right to claim resale compensation have already introduced Korean art trade have become the same as those in their own countries. It can be seen that the works of famous artists who want to claim resale compensation are pouring into the auction house of our art auction house by freely offering bids on their works, giving them an opportunity to sell the works of new artists as well.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true that it is not easy to show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art market because Korea is not currently prepared for various matters that are already in place in countries where existing resale compensation claims have been introduced. For example, there is a 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various expert appraisers that study authenticity, and art insurance that can minimize risks is not active, so if a dispute arises in the art field, help from overseas appraisers must be sought. In addition, to manage these risks, the insurance that art auction companies can recommend will also utilize overseas art insurance.
    Moreover, since most artists who benefit from resale compensation claims in the art transaction market are established artists and their heirs, and they are already the 1% who are not in a vulnerable position in the art industry, there is skepticism about whether the resale compensation claim is really necessary (the resale compensation claim is established when the resale price of the artwork is 5 million won or more), and there is also concern that since the artworks of famous foreign artists are mainly traded, there will be little benefit in the art transactions of domestic artists. Recently, there is an increase in the population who enjoys digital art such as Twitter and there is also criticism that the foundation of art education in Korea is being shaken due to the development of generative AI software, so it is uncertain whether the prices of works by Korean artists will rise in the future.
    In particular, art auction houses are facing an increase in administrative work, such as managing and organizing records in more detail in addition to the bidding and art sales they have been doing, and the lack of additional manpower and resources for this could burden operational efficiency for a while, perhaps for quite some time.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legal responsibilities of art auction houses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right to claim resale compensation, and study the direction of revision that the Art Promotion Act should support in the future to support th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홍익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