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술품 매매계약 (Kunstvertra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8.03
16P 미리보기
미술품 매매계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5권 / 1호 / 273 ~ 288페이지
    · 저자명 : 손원선

    초록

    미술품 시장에서 미술품 가격이 상승할수록 위작 매매사례는 증가하고 있다. 이에 관한 우리 대법원의 민사판례는 1997. 8. 22. 선고 96다26657 판결이 유일하다. 따라서 미술품 매매계약에서 발생하는 법률문제를 전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첫 번째로, 미술품 위조의 개념을 직접위조 및 간접위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직접위조는 특정 작가의 기존 작품을 기망의 의도로 복제하는 경우이다. 간접위조는 특정 작가의 스타일과 기법을 그대로 따르고 그의 위조된 서명이 들어간 경우이다. 독일 판례에서 직접위조의 경우는 작가의 저작인격권이 침해되는 문제로 보았다. 이와 달리. 간접위조에서는 그의 일반적 인격권 침해의 문제로 다루었다. 이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논문에서는 두 번째로, 예술품 매매계약에서 위품으로 밝혀진 경우 물건의 하자로 보고 어떤 기준에 의해 하자로 인정할 수 있는지에 관해 고찰했다. 이는 결국 계약당사자 간에 물건의 성상에 관한 의사표시의 합치가 있었는지 여부에 달린 것이다. 따라서 카탈로그에 기재한 것만으로 의사표시의 합치가 있었다고 할 것인지 등에 관해 독일판례를 소개해 그 기준을 제시했다. 더불어 예술품 상인이나 경매를 통해 위품을 매입했을 경우, 판매자들이 사안에 따라 부담해야 할 주의의무의 정도에 대해 대략적인 기준을 마련했다. 본 논문에서는 세 번째로, 물건의 하자로 인한 법률효과를 다루었다. 계약의 해제, 전액 환불 및 감정가 비용 등의 손해배상 요구가 통상적이나 이행에 갈음한 손해배상청구가 가능한가에 대해 이를 인정한 독일판례를 소개했다. 본 논문에서는 네 번째로, 담보책임면책 특약의 효력이 유효한가에 관해 살펴보았다. 원칙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보나, 과실이 있는 매도인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의거해 이를 원용할 수 없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마지막으로, 하자로 인한 취소권과 담보책임책임청구권의 관계에 관해 고찰했다. 매수인은 통설에 따라 담보책임청구권만 행사할 수 있다. 하지만 매도인은 취소권만을 행사할 수 있다.

    영어초록

    Je mehr Kunstpreise sind stark getiegen, desto mehr sind Kunstfaelschungsfaelle auch immer zugenommen in Korea. Trotzdem gab es im Breich des Zivilrechts bis zur Zeit nur eine Rechtsprechung, sie “Oberstgerichtshof’s Entscheidung von 22. 08. 1997, 96 DA26657” ist. Damit soll aber doch das Ziel dieser Abhandlung sein, uebersichtlich Rechtsverhaeltnisse zum Thema in Betracht zu ziehen. In dieser Abhandlung soll zuerst (im zuweiten Kapital) das Thema zum Begriff der Kunstfaelschung behandelt werden. Hier soll man einen Unterschied zwichen unmittelbarer und mittelbarer Faelschung machen. Die Unechtheit eines kunstgegenstaendes soll einen Sachmangel darstellen, sofern das Werk einem bestimmten Meister oder einer bestimmten Stilepoche zugeschrieben worden ist. Deswegen soll im dritten Kapital eine Frage gestellt, in welchem Massstab es solche Vereinbarung geben soll oder nicht. Im vierten Kapital soll die Rechtsfolge eines Sachmangels behandelt werden. Die Unechtheit als Sachmangel kann nicht durch eine Nacherfuellung beseitigt werden. Daher soll hier eine Frage gestellt werden, ob die Verpflichtung zum Schadensersazt statt der Leistung fuer den Verkaeufer anerkannt werden soll. Da stellt sich deutsche Rechtsprechung davon vor. Im fuenften Kapitel soll in Betracht ziehen, ob der Gewaehrleistungsausschluss bei Kunstgegenstaenden generell zulaessig ist. Dabei sollen auch Ausnahmefaelle behandelt werden. Zuletzt soll betrachtet werden, in welchen Faelle Irrtumsanfechtung zulaessig sein soll oder nic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