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증강현실(AR) 기반 전시관 플랫폼 기념품 구매 콘텐츠 경험 및 효과성 평가 - 국립현대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 (Augmented Reality (AR)-based Exhibition Platform Souvenir Purchase Content Experience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5.06
11P 미리보기
증강현실(AR) 기반 전시관 플랫폼 기념품 구매 콘텐츠 경험 및 효과성 평가 - 국립현대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 81호 / 421 ~ 431페이지
    · 저자명 : 김지영

    초록

    본 연구는 증강현실(AR) 기반 전시관 플랫폼에서의 기념품 구매 콘텐츠 경험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몰입 효과 및 구매 의도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국립현대미술관 온라인 기념품 가게에서 AR 기능 없이 쇼핑을 하는 경우와, 동일한 상품에 AR 기능을 체험하며 쇼핑을 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실험 참여자는 국내 디자인 관련 학과재학생 28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집단에 동일한 상품 자극물을 제공한 후 몰입 경험, 감정 반응, 제품 인지, 만족도, 구매의도를 설문 및 통계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AR 기반 쇼핑 경험은 몰입 경험, 감정 반응, 구매 의도 모두에서AR 없이 진행한 일반 그룹 대비 유의미한 긍정적 차이를 보였다. 특히 여성 참가자 그룹에서는 AR 체험 후 감정 반응 및구매 의도 상승폭이 남성 그룹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 맞춤 AR 경험 설계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AR 기술이 박물관 기념품 쇼핑 경험에서 단순한 기술적 화려함을 넘어, 소비자 몰입 및 구매 전환을 촉진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향후 다양한 연령·직업군을 대상으로 한 확대 실험과 오프라인-온라인 연계, AI 기반 개인화 AR 경험 등으로 연구범위를 확장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본 연구는 박물관 및 전시관기념품 판매 전략 설계, AR 기반 플랫폼 기획, 디자인 및 마케팅 실무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mersive effects and purchase intention impacts of AR (Augmented Reality)-based souvenir content experiences on consumers within a museum platform context. The research compares two groups: consumers engaging in online shopping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without AR features, and those shopping for the same products while experiencing AR features. A total of 280 participants, all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design-related fields in Korea, were recruited. Both groups were exposed to identical product stimuli, after which their levels of immersion, emotional response, product recognition,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were measured through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AR-based shopping experiences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immersion, emotional responses, and purchase intentions compared to the non-AR group. Notably, among female participants, the increases in emotional response and purchase intention after AR experiences were greater than those observed among male participants, suggesting the need for gender-customized AR design strategies.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at AR technology in museum souvenir shopping functions not merely as a technical novelty but as a strategic tool to enhance consumer immersion and drive purchase conversion.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the scope by including diverse age and occupational groups, exploring offline-online integrated environments, and investigating AI-driven personalized AR experienc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data for developing museum and exhibition souvenir sales strategies, AR-based platform planning, and practical applications in design and marke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