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타버스 플랫폼의 체험형태에 따른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실감, 초실감 메타버스 대표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Platforms According to Experience Types - Focus on Representative Cases of Realistic and Hyper-Realistic Metaverse -)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1.12
10P 미리보기
메타버스 플랫폼의 체험형태에 따른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실감, 초실감 메타버스 대표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8호 / 427 ~ 436페이지
    · 저자명 : 이하은, 한정엽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코로나19에 의한 비대면 상황 가속화와 초고속, 초연결, 초저지연의 5G 정보통신기술의 상용화에 따라 웹 3.0을 대규모로 활용하려는 메타버스 산업들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의 유형분류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ASF에서 제시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의 4가지 유형분류에 대해 연구자가 체험형태의 관점으로 유형을 바라볼 필요성을 제시하며 체험형태에 따른 유형분류와 유형별 체험특성에 대한 대표사례 분석을 통해 그 특성들을 대비적으로 보여주어 유형별 특성의 요소를 분석할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의 개념과 유형분류, 가상현실과 가상세계, 그리고 웹3.0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분석의 방향을 수립하였다. 실감 메타버스와 초실감 메타버스의 특성요소를 확인을 위해 해외 대표사례와 국내 대표사례로 선정된 4개의 각 유형별 플랫폼을 가상세계 특징요소와 가상현실 특징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대표사례의 세부 분석을 위해서는 실감 메타버스의 경우 가상세계의 특성인 공유공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즉시성, 상호작용, 지속성, 그리고 사회화/커뮤니케이션 총 6가지 요소로, 초실감 메타버스의 경우 가상현실의 특성인 시뮬레이션, 상호작용, 인공성, 원격현전, 온몸몰입, 그리고 망으로 연결된 커뮤니케이션 총 6가지 요소를 척도로 활용했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메타버스 플랫폼들을 웹3.0시대의 관점에서 발전을 예측하여 체험유형을 기준으로 재분류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메타버스의 체험형태에 따라 체험자의 시각적 환경을 기준으로 2D, 3D로 나누어 실감 메타버스와 초실감 메타버스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분류된 유형의 국내외 대표사례를 통해 선정된 4개의 각 사례를 가상세계 특징요소와 가상현실 특징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실감 메타버스는 가상세계 특성의 공유공간과 사회화/커뮤니케이션 요소에서, 초실감 메타버스는 가상현실 특성의 시뮬레이션, 원격현전,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장 높은 연관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는 메타버스 산업의 사회적 관점을 뒷받침하면서 실감 메타버스와 초실감 메타버스의 특성 요소를 제시함으로써 관련분야의 연구자 뿐 아니라 메타버스 산업에 있는 전문가들에게 학술적 용어 및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의 초석이 되어 가치를 배가시킨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 response to the recent non-face-to-face situation triggered by COVID-19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5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 ultrahigh speed, hyper-connection, and ultra-low latency, metaverse industries that use Web 3.0 on a large scale are taking center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s for each type by classifying experience types of metaverse and analyzing representative cases by contrasting the characteristics, while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need to consider four types of metaverse platforms presented by ASF, which are mostly used for the classification of metavers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xperience types. (Method)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analysis was established through theoretical review on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metaverse, virtual reality, virtual world, and Web 3.0.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s of the realistic metaverse and hyper-realistic metaverse, four platforms by type selected as overseas representative cases and domestic representative cases were analyzed by categorizing them into virtual world characters and virtual reality characters. For a detailed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 cases, in the case of the realistic metaverse, a total of six factors, including shared space, graphic user interface, immediacy, interaction, sustainability, and socialization/communication,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world, were used as a measure, and in the case of the hyper-realistic metaverse, six factors, simulation, interaction, artificiality, telepresence, full-body immers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were used as a measure. (Results) In this study, the need to reclassify the current metaverse platforms based on the experience types was suggested by predicting the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eb 3.0 era. Metaverse was categorized into 2D and 3D, and subsequently classified into realistic metaverse and hyper-realistic metaverse, based on the user's visu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types. In addition, the four cases selected through the classified representative cases at home and abroad were respectively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to virtual world characters and virtual reality characters.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alistic metavers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the shared space and socialization/communica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world, while the hyper-realistic metavers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simulation, telepresence, and communica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Conclusions) It doubles its value as it becomes a cornerstone of research to establish academic terms and concepts for researchers in related fields and experts in the metaverse industry by presenting the characters of the realistic metaverse and hyper-realistic metaverse, while supporting the social perspective on the metaverse indus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