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령자 주택개조 플랫폼 구축을 위한 일반 공동주택의 개조항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novation Parameters of the General Multi-Unit Dwellings for the Platform Construction of Elderly Housing Renovation)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3.04
14P 미리보기
고령자 주택개조 플랫폼 구축을 위한 일반 공동주택의 개조항목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3호 / 139 ~ 152페이지
    · 저자명 : 홍사철, 김석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령자복지는 커뮤니티 케어의 추진으로 전문시설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전환하여 재가 자립이 가능하도록 지역사회의 역할과 시스템이 보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서 주택개조는 커뮤니티 케어의 주요 개념으로 활성화가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되고 있지만 선진국에 비교하면 우리의 고령자 주택개조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자 주택개조 활성화를 위한 주택개조의 모든 프로세스가 하나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주택 개조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고령자 주택 개조 접근성을 높일 방안으로 주택개조플랫폼의 기본 기능인 개조항목 제안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고령자 장애요소를 생활방식과 신체기능 상태를 반영하여 정의한다. 생활방식은 단독보행, 보조기 이용 보행, 좌식 생활, 휠체어 이용, 침대 생활의 다섯 단계로 정의하며, 신체기능 상태 반영은 감각기능, 신체·인지기능, 생리기능으로 분류하고 장애요소를 정의한다. 앞에서 분류한 생활방식과 장애요소에 대해 개조항목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시된 개조항목을 고령자를 선정하여 조건에 맞추어 개조항목과 공사 규모 제안을 실험하고, 최종적으로 공동주택 거주와 BIM 모델의 준비를 자동 제안의 대안으로 제시한다. (결과) 주택개조 활성화를 위한 주택개조플랫폼 내 기능으로 고령자가 실제 거주하는 일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개조항목 자동 제안 실험을 진행하였고, 고령자의 기본 정보 입력과 생활방식과 신체기능을 반영한 장애요소 선택, 대상자가 요구하는 옵션의 조건이 BIM 모델을 이용하여 결과로 개조항목과 도면과 공사내역서를 추출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서 고령자가 기본 정보 제공과 신체상태에 대한 몇 번의 응답으로 주택의 개조항목과 공사 규모 파악이 실험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는 주택개조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것에 일조할 것이며,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한 개조항목의 제안과 공사 규모의 제안은 주택개조 플랫폼의 근간이 되는 주택개조 지침 마련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 a situation where we are approaching an aging society, the focus of elderly welfare programs has shifted from specialized elderly care facilities to local communities as the roles and systems of local communities have been strengthened so that the elderly living at home can achieve self-reliance by means of community care.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promote housing renovation as a core concept of community care. When it comes to the current status of housing renovation for the elderly, however, Korea has a long way to go compared with advanced countries. In that sense,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a platform for housing renovation, in which all process steps for housing renovation are implemented in one space, should be constructed for the activation of housing renovation for the elderly. As a way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housing renovation for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utomatically provide a proposal for renovation items, which is a basic function of the housing renovation platform. (Method) The study methods involve defining the obstacles to the elderly's self-reliance at home by reflecting status of lifestyle and physical functions. Lifestyles are classified into five stages: independent walking, use of walking aids, sedentary life, reliance on a wheelchair, and staying in bed all day. Physical state includes the sensory function, the physical/cognitive function, and the physiological function. Once renovation parameters are set, elderly subjects are selected, and experiments are made to propose renovation parameters and construction scale according to subjects' specific conditions. Finally, apartment dwelling and preparation of BIM models are presented as alternatives to automatic proposals. (Results) In this study, as a function of a housing renovation platform for the activation of housing renovation, the automatic proposal of renovation parameters was studied for elderly subjects living in a general multi-unit dwelling. After entering basic information about elderly subjects, selecting obstacles in view of lifestyle and the physical functions, and considering the options desired by elderly subjects, the outcomes were derived as renovation parameters, drawings, and construction statement using the BIM model. (Conclusions) This study proves that if the elderly provide their basic information and answer a few questions about their physical state, it is possible to propose parameters for housing renovation and construction scale.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ccessibility to housing renovation. In addition, the renovation parameters and construction scale proposed in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as the topic of basic research for the establishment of a guideline on housing renovation which will lay the foundation for a housing renovation plat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