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플랫폼 자본주의와 사진 이미지 -(무)의식적 공장에 머무는 노동자들- (Platform Capitalism and Photographic Images -Employees living in (un)conscious factorie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2.04
29P 미리보기
플랫폼 자본주의와 사진 이미지 -(무)의식적 공장에 머무는 노동자들-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논리성
    • 전문성
    • 독창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디지털 환경에서 사진 이미지의 새로운 정치적, 사회적 의미 탐구
    • 💡 플랫폼 자본주의와 시각문화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
    • 🌐 현대 디지털 환경에서 이미지 생산과 소비의 메커니즘 비판적 고찰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연구(Cultural Studies) / 10권 / 1호 / 45 ~ 73페이지
    · 저자명 : 전소영

    초록

    시각문화 연구에서 사진 이미지에 대한 논의는 시대에 따라 새롭게 해석되고 비판받고 있는반면, 데이터 자산이 된 사진 이미지와 그 환경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롤랑 바르트의 ‘푼크툼’에 의존한 사진 이미지 독해 방식을 넘어 ‘스투디움’ 의 새로운 영향력에 주목해야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어서 2010년 이후 디지털 환경의 정치적 의의를플랫폼 자본주의로 이해하고, 그에 따른 사진 이미지의 새로운 생산과 소비 환경을 재검토한다. 또한‘블랙 큐브’와 ‘화이트 큐브’의 맥락에서 현재 우리가 바라보는 디지털 기기의 스크린을 둘러싼 세계를축약하는 개념으로 ‘(무)의식적 공장’에 해당하는 ‘창백한 큐브’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존 래프만, 데이비드 호비츠, 앤드루 노먼 윌슨, 제바스티안 슈믹이 기존의 질서에 균열을 내는 방식을 위 세가지 큐브 혹은 공장의 개념을 통해 분석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사진 이미지가 우리를 포섭하는수단으로 작동하는 방식을 다시 이해하고, 포섭 주체이자 대상이 된 우리의 행동 양식과 그 변화의가능성을 고찰한다.

    영어초록

    Discourses on photographic images have been continuously reinterpreted and criticized over time. However, the studies considering photographic images as data assets are limi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Roland Barthes’s ‘Studium’ beyond the conventional approach depending on Roland Barthes’s ‘Punctum’.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the new digital environment after 2010 will be assessed through the platform capitalism framework to discuss the new ways of consuming and producing photographic images. Based on the term of ‘Black Cube’ and ‘White Cube’, this study suggests the concept of ‘Colorless Cube’ as ‘(Un)conscious Factories’ that abbreviates the world surrounding the screens of digital devices we're looking at. Lastly, it is possible to find a way to make a crack by analyzing artworks by Jon Rafman, David Horvitz, Andrew Norman Wilson, Sebastian Schmieg through the concepts of the three factories. This view and methodological approach enable us to understand how photographic images work as a mean of subsumption. Moreover, this study will provide a new possibility and future direction of changes in perspectives and behavior patterns of users who subsume and are subsu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