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플랫폼 차이에 따른 다큐멘터리 영상 재현의 차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Representation Differentiation of Documentaries according to Platfor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6.06
29P 미리보기
플랫폼 차이에 따른 다큐멘터리 영상 재현의 차별화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화연구 / 68호 / 124 ~ 152페이지
    · 저자명 : 이규정

    초록

    최근 멀티 플랫폼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플랫폼에 적합한 다양하고 새로운 유형의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큐멘터리가 방영되는 플랫폼에 따라 어떤 영상재현 양식의 특성을 보이는지, 그리고 수용자는 이런 점들을 어떤 의미로 해독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같은 소재와 장소에서촬영되고, 똑같은 주제를 다룬 TV다큐멘터리 <백발의 연인>과 극장용 다큐멘터리 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를 선정하여 영상재현의 특성 비교 및 실험연구를 통한 수용자들의 반응과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백발의 연인>은 다양한 종류의 샷을 비슷하게 사용하였고, 인물샷의 경우 바스트샷, 웨이스트샷, 풀샷의 활용빈도가 높았다.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는 업샷의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인물샷에서 바스트샷, 풀피겨의 빈도가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TV다큐멘터리가 관습적인 상황에 따라 미학적 촬영보다는 현장 기록에 치중한 반면, 다큐멘터리 영화는 상징적인 이미지 샷을 통해관객의 정서를 몰입시키는 전략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카메라 워크에서는 두 작품 모두 공통적으로 고정샷의 재현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하지만 TV다큐멘터리가 다큐멘터리 영화에 비해 팔로우잉샷의 활용이 많았으며, 결과적으로 장시간의 촬영 기간을 확보한 영화가 완성도 높은 작품을 생산할 수있음을 말해준다. 한편, 플랫폼 차이에 따른 다큐멘터리 영상재현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 결과, 두 작품 모두 사실성에 관한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특히 두 작품의 사실성 비교에 있어서 진실성(정확성)과 관련성(완성도)이 유의미한 결과를보여주고 있다. TV다큐멘터리의 제작 특성 상 핸드헬드 기법을 주로 사용함으로써 현장성과 사실감을 전달하여 높은 진실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완성도 측면에서는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가 매우 높은 평균값을 보이고 있다. 이는 카메라 샷이나 구도 등 미학적 완성도를 높이는데 영화가 보다 더심혈을 기울이고 있음을 말해준다. 그리고 흥미도에 대한 수용자 반응에서도 다큐멘터리 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가 <백발의 연인>에 비해 재미, 몰입, 이해, 행복 요소에서 훨씬 높은 평균값을 보여준다. 이는 영상콘텐츠의 완성도가수용자들에게 흥미를 높여 주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시켜준다고 할 수 있다. 그밖에 작품에 대한 수용자의 만족도에 있어서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가 <백발의 연인>에 비해 이야기(내용), 영상, 작품완성도, 가치 등 모든 구성 요소에서 높이 평가되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장시간에 걸쳐 촬영한 작품이 보다 높은 완성도를 이끌어내고, 결국 수용자들에게 더 좋은 평가를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Following the recent advent of multi-platform environment, various and new types of contents, fitting for platform, are being continuously produced. This study examined what characteristics of visual representation type are shown according to platform on which documentaries are televised, and how the audience interpret such points. This study, for this, selected TV documentary titled <Gray-haired Lover> and documentary film titled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which were filmed at the same place and had same subject matter, to apprehend the audience’s response and its meaning, through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visual representation and test research. As a result of study, <Gray-haired Lover> similarly used various kinds of shot, and frequently utilized bust shot, waist shot and full shot for figure shot.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showed relatively high rate of upshot, and the frequency of bust shot and full figure was generally high. The result definitely showed that TV documentary focused on field recording, by custom, rather than aesthetic shooting, while the documentary film presented a strategy to let the audience’s emotion be immersed in the film, through symbolic images.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camera walk, above-stated two works all actively utilized representation type of fixed shot. But, TV documentary used more following shot than documentary film, which led to the fact that a film taken for long time can produce high completion of work. Meantim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udience’s response to visual representation of documentary according to platform, both of two works showed high average value as to realism. In particular, in comparing realism between two works, authenticity (accuracy) and relevance (degree of completion) showed significant resul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V documentary production, frequent use of handheld technique is considered to show high degree of realism, by delivering sense of field and reality. On the other hand, in the aspect of completion,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showed very high average value.
    This means that a film devotes itself to raise degree of aesthetic completion, such as camera shot or composition. Furthermore, even in the audience’s response to the degree of interest, the documentary film titled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showed much higher average value in the aspect of fun, immersion, understanding and happiness, than <Gray-haired Lover>. This result showed that the degree of completion of image contents is very important element to raise interest of audience.
    Additionally, as to the audience’s satisfaction for work, all the elements such as story (contents), image, degree of completion and value of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were highly evaluated than <Gray-haired Lover>. In light of these results, a work that is filmed for long time brings higher degree of completion, and finally receives more favorable evaluation from the aud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