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온라인 플랫폼과 자율규제 논의의 기초 (Understanding Self-Regulation in Online Platfor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2.11
26P 미리보기
온라인 플랫폼과 자율규제 논의의 기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제규제와 법 / 15권 / 2호 / 42 ~ 67페이지
    · 저자명 : 이승민

    초록

    자율규제는 오래 전부터 널리 사용된 용어이지만 그 개념이나 외연이 분명하다고 보기 어렵고, 일률적으로 정의하기도 어렵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들어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온라인 매체물⋅표현물을 위주로 활성화되기 시작하였지만, 보편적인 개념은 아니었다.
    그런데 2020년부터 국내에서 온라인 플랫폼 규제에 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자율규제가 다시 논의선상에 등장하게 되었고, 현 정부에서 자율규제가 국정과제로 선정되면서 정부 부처별로 자율규제 추진 움직임이 크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자율규제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나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 주도로 이루어지는 자율규제는 규제 체계의 혼선과 자율규제에 대한 왜곡을 가져오고 규제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특히, 자율준수 프로그램과 같은 것을 자율규제의 원칙적 모습으로 보아서는 안 되며, 주로 미국에서 발전한 자발적 자율규제와 유럽에서 발전한 공동규제 또는 규제된 자율규제의 배경과 내용을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자율규제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해야 한다. 자율규제도 규제인 만큼, 규제의 필요성이 먼저 인정되어야 하며, 자율규제 자체가 규제 목적에 적합한 수단이어야 한다. 그리고 자율규제의 필요성⋅적합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도 구체적으로 어떠한 자율규제 방식을 선정할 것인지가 중요하며, 특히 공동규제의 경우에는 민관의 적절한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아울러 자율규제에 대한 인식의 전환, 정부와 시민사회의 신뢰, 자율규제를 행하는 민간의 노력이 요구되며, 글로벌 사업자들의 참여를 통한 역차별 방지 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온라인 플랫폼의 경우에도 자율규제는 그것이 적합한 영역, 즉 시장의 실패나 사회적 해악의 발생 위험이 분명하거나 현저하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규제의 필요성을 완전히 부정하기 어려운 영역에서 유연한 규제수단으로서 적절하게 활용하면 된다. 그러므로 온라인 플랫폼과 관련된 여러 분야 중에서 자율규제가 적합한 곳을 선별한 다음, 해당 분야의 특성에 맞는 자율규제 방안을 적용해야 한다. 그리고 자율규제가 필요한 영역에서는 진정한 자율이 보장되어야 하고, 자율규제가 정부의 책임성을 약화시키거나 정부의 권한을 우회적으로 확대하는 수단으로 남용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영어초록

    Self-regulation is a term that has been widely used for a long time, yet it is still an ambivalent concept which is difficult to accurately and coherently define. In Korea, self-regulation was introduced and utilized in terms of content regu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in the 2000s.
    Since 2020, however, there has been a newfound interest in self-regulation in Korea as an alternative for online platform regulation. In fact, self-regulation was selected as a key policy objective of the current Yoon administration, thereby leading almost every government ministry and regulatory agency to consider introducing self-regulation in various forms. However, self-regulation led by the government -in lack of accurate understanding of self-regulation- is likely to hamper the stability of the whole regulatory framework and distort the concept of self-regulation. In particular, compliance programs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 form of self-regulation per se. Additionally, it is essential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distinct backgrounds and concepts of different types of self-regulation: voluntary self-regulation developed mainly in the United States and co-regulation or regulated self-regulation developed in Europe.
    Before adopting self-regulation,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irst, because self-regulation itself is also a kind of regulation, the need for regulation must be justified in advance, and it has to be confirmed that self-regulation can be a better means than state regulation for achieving public goals. Second, the specific type or model of self-regulation must be appropriate. Third,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self-regulation, the trust in self-regulation, and the effort of private sectors forming and enforcing self-regulation are also important. And, finally, it is also necessary to encourage global businesses to participate in collective self-regulation, in order to mitigate the concern about selective disadvantages of local businesses due to self-regulation.
    In case of online platforms, self-regulation can be a flexible regulatory tool in an area where the likelihood of market failure or social harm is not clear but the need for regulation in terms of risk management cannot be completely denied. Therefore, among various online platform sectors, those appropriate for self-regulation should first be identified, and then the suitable self-regulation model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target sector. In addition, in areas where self-regulation is necessary, the autonomy of the private sector must be guaranteed, and self-regulation must not be abused as a means for the government to circumvent its responsibilities or to indirectly expand its pow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규제와 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