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의 플랫폼종사자 보호와 규제방식 (Platform Worker Protection in the United Stat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4.09
46P 미리보기
미국의 플랫폼종사자 보호와 규제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노동법연구 / 57호 / 257 ~ 302페이지
    · 저자명 : 전형우

    초록

    최근 플랫폼종사자 수는 크게 늘었지만 온전한 노동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근로기준법상 근로자가 아닌 독립계약자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인정받지 못하고 독립계약자로 분류되는 플랫폼종사자에게 노동법적 보호의 일부를 보장하는 방식을 미국의 사례를 통해 검토하고자 한다.
    미국은 플랫폼종사자의 근로자성 여부에 대해 연방정부와 연방대법원이 아직 명확한 판단을 내리지 않은 상황에서 지방정부들이 각각 입법을 통해 플랫폼노동을 다뤄왔다. 미국 지방정부의 플랫폼노동에 대한 대응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플랫폼종사자를 근로자로 포함시키는 방식을 선택했다. 반면 애리조나 등 공화당이 집권한 7개 주에서는 플랫폼종사자를 독립계약자로 명시했다. 뉴욕시와 시애틀시는 근로자성 판단과 관계없이 플랫폼종사자에게 노동법적 보호 중 일부를 부여하는 방식을 입법화했다. 뉴욕시는 음식플랫폼 배달라이더에게 근로자로 인정될 경우 받는 최저보수에 이들이 근로자로 인정받지 못해서 손해를 보는 사회보장 비용을 환산해 최저기준을 설정했다. 또한 앱에 접속해있지만 배달 업무를 부여받지 못해 대기하는 시간도 노동시간으로 인정해 최저보수를 적용하도록 했다.
    이 연구는 미국의 플랫폼노동 보호 방식을 토대로 국내 적용을 검토한다. 국내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근로자냐 아니냐의 이분법에 따라 노동법적 보호 여부가 결정된다. 노동법 영역에서 근로자와 독립계약자 사이에 중간개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미국과 차이점은 국내의 경우 정부가 지역기반형 플랫폼종사자에게 집단적 노사관계법상 근로자로 인정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산재보험과 고용보험 등 사회보장 면에서는 국내 플랫폼종사자의 경우 미국과 다르게 보호대상으로 포섭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플랫폼종사자는 개별적 근로관계법의 적용을 받지 못해 노동 조건의 최저기준에 대한 보호가 비어있다. 이런 상황에서 해당 연구는 뉴욕시와 시애틀시의 사례처럼 근로자로 인정되지 않더라도 플랫폼 노동에 최저보수 등 개별적 최저기준의 보호를 제공하는 방식에 대한 국내 도입 가능성을 모색한다.

    영어초록

    The number of platform workers has grown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 but they do not have labor law protections. This is because they are often classified as independent contractors rather than employees. This paper examines the various ways in which state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United States protect platform workers.
    In the United States, the federal government and the Supreme Court have not yet made a clear decision on whether platform workers are employees. State and local governments have addressed platform work through legislation. The responses of local governments to platform work in the United Stat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California has chosen to include platform workers as employees. On the other hand, seven Republican-controlled states, including Arizona, have labeled platform workers as independent contractors. New York City and Seattle have adopted some of the labor law protections that platform workers need while reserving judgment on whether they are employees or independent contractors. New York City has set a specific minimum wage for food platform delivery riders that includes the social security costs of not being recognized as workers, in addition to the minimum wage they would receive if they were recognized as workers.
    This study examines the U.S. approach to protecting platform work and considers their application to Korean situ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treatment of platform workers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in three areas: individual labor law, collective labor law, and social security. In the U.S., their treatment in all three areas are determined based on a dichotomy between employee and independent contractor.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dichotomy between employee and independent contractor is used to determine the level of protection only in the labor law area. In the social security area, the intermediate concept of "worker" exists between employee and independent contractor, enabling extended protection to platform workers. In addition, under the collective labor relations law, platform workers in Korea tend to be recognized as employe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xtending protection in individual labor law area, setting minimum standards of working conditions that are lacking for platform workers in Korea. Taking a cue from the platform worker protection legislation introduced by New York City and Seattle, this paper explores ways to bring some labor law protections, including a minimum wage, to platform work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노동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