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플랫폼 자율규제의 의의와 전망 (Digital Platforms Self-Regulation – Its Significance and Perspective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3.11
38P 미리보기
디지털 플랫폼 자율규제의 의의와 전망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논리성
    • 전문성
    • 신뢰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디지털 플랫폼의 자율규제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법 제시
    • 📊 실질적인 자율규제 추진의 구체적인 과제와 요건 분석
    • 🤝 민관협력 기반의 새로운 규제 패러다임 탐구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연세법학 / 43호 / 113 ~ 150페이지
    · 저자명 : 김종운, 윤상필, 임지훈, 권헌영

    초록

    그간 국가 중심의 일방적 규제에 익숙해진 우리 사회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디지털 기술이라는 전문성의 요구, 디지털 플랫폼의 사회적 영향력, 혁신과 성장을 강요하는 국내외적 상황, 성숙해진 시민의 눈높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민관협력을 원칙으로 하는 정부를 만들었다. 이러한 점에서 디지털 플랫폼 자율규제는 스스로 만든 규칙을 스스로 지키는 새로운 규제 패러다임의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디지털 플랫폼 규제 실현의 벽은 디지털 플랫폼의 속성과 현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복합적인 정부 규제와 부족한 자율규제 경험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연구는 디지털 플랫폼 자율규제의 의의와 발전, 그리고 관련 정책의 논의 현황을 분석하고 디지털 플랫폼 사업의 유형별 현황을 파악해 실질적인 디지털 플랫폼 자율규제 추진의 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디지털 플랫폼 자율규제의 요건을 식별하였다.
    앞으로의 디지털 플랫폼 자율규제가 성공하려면 먼저 이해당사자의 소통 기반을 확보하여야 한다. 유형별 디지털 플랫폼 사업자를 특정해 최신성과 다양성을 확보함으로써 기존 소수 사업자에 의한 자율규제가 형성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모두의 의견으로 형성한 자율규제는 권한 있는 기구에 의해 집행되고 공적 권력에 의해 그 실효성을 보장받아야 한다. 자율규제기구도 특정 분야 내 산발적으로 형성되기보다는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분야별 핵심 기구를 형성하는 움직임이 요구된다. 자율규제 당사자뿐만 아니라 이용자와 소비자, 규제 주체도 특정해 소통하고 역할 및 권한을 분배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익숙하지 않은 문제를 다뤄야 한다는 점에서 규제의 전제가 되는 행위나 데이터를 축적, 분석하고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규제정책을 운영할 수 있어야 한다. 불필요한 규범이 있는 것은 아닌지 검증하고 현장의 특성을 반영해 유연하게 규칙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플랫폼 자율규제는 글로벌 규제 환경의 영향을 밀접하게 받기 때문에 동향을 고려해 설계되어야 한다. 정부규제와도 긴밀히 연계되어야 한다. 완전한 자율규제는 그 실효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자칫 자율규제의 신뢰성을 저해하고 역효과로서 정부규제를 강화하는 흐름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동규제의 관점에서 합리적인 규제체계를 운영하고 공공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협력체계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Our society, accustomed to Government Regulation, is experiencing a new wave of change. The demand for expertise in digital technology, the social influence of digital platforms,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s for innovation and growth, and the elevated expectations of a matured citizenry have all combined to shape a government that operates on the principle of public-private cooperation. In this context, self-regulation of digital platforms may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a new regulatory paradigm, where rules are created and adhered to by the entities themselves.
    The challenge in realizing effective regulation of digital platforms lies in the complex nature of government regulations that fail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e of digital platforms, coupled with a lack of experience in self-regul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and development of digital platform self-regulation, discuss related policies, and identify the types of digital platform businesses to derive practical tasks for effective self-regulation. Based on this,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successful self-regulation of digital platforms have been identified.
    For future success in self-regulating digital platforms, it is crucial to ensure communication among stakeholder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various types of digital platform operators to ensure novelty and diversity, preventing a monopoly of self-regulation by a few businesses. Self-regulation, formed by the consensus of all, must be executed by authoritative bodies and ensured effectiveness by public power. Rather than forming self-regulatory bodies sporadically within specific areas, there is a need for concentrated efforts in forming key institutions in each sector. It's also essential to specifically identify and communicate with stakeholders, including users, consumers, and regulatory bodies, and distribute roles and authorities accordingly. Additionally, dealing with unfamiliar issues necessitates the accumulation and analysis of behavior and data that form the basis of regulation, and the operation of data-based scientific regulatory policies. It is important to verify the necessity of existing norms and flexibly improve rule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Such platform self-regulation, closely influenced by the global regulatory environment, must be designed considering these trends and be closely linked with government regulation. Complete self-regulation might be difficult to ensure effectiveness. It could undermine the credibility of self-regulation and inadvertently strengthen government regul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cooperative regulatory system that operates from a perspective of co-regulation to ensure public interest and tru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