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기본심리욕구의 충족과 목표내용의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The Content Analysis of Korean Smoking Cessation Apps for Smartphone Application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3.05
35P 미리보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기본심리욕구의 충족과 목표내용의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PR학회
    · 수록지 정보 : PR연구 / 17권 / 2호 / 76 ~ 110페이지
    · 저자명 : 최정화, 박동진, 노기영

    초록

    최근 지속적인 건강행위의 변화나 건강관리를 요구하는 건강문제의 해결을돕기 위한 정보기술의 하나로 스마트폰 앱이 그 잠재력을 주목 받고 있다. 금연과 관련해서도 다양한 앱을 찾아볼 수 있으나, 이러한 앱에 대한 평가나 분석은거의 없는 형편이다. 이에 이 연구는 국내 안드로이드 및 애플의 앱 시장에서한국어로 제공되고 있는 29개의 금연앱의 내용을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SDT)에 기반하여 분석 및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금연앱들은 SDT가 제시하는 기본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표내용과 관련해서도 외재적(주로 금전적 이익 및 손실) 목표내용만을 제시하거나 외재적 및 내재적(즉 건강) 목표내용을 동시에 제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재 유통되고 있는 금연앱은 자발적 동기화가 아닌 통제적 동기화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많아 그 유용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시사한다. 보건 실무자 및 소비자에 대한 실무적 함의와 이론적 함의 또한 논의된다.

    영어초록

    Smartphone apps are receiving an increasing attention from scholars and public health practitioners as a mean to solve public health problems which require consistent behavioral change or health management.
    Various apps for smoking cessation are also available but there exists nearly evaluation or analysis of these apps. In regard to this, the present study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Smartphone apps for smoking cessations which are available in Korean, applying the Self‐Determination Theory(SD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ajority of the apps do not offer the functions or contents to satisfy the basic needs suggested by SDT(i.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e apps also tended to present more extrinsic goal contents (primarily in terms of gaina/loss of money) over intrinsic goal contents (i.e., health). To sum up, the apps seems limited in its utility to lead people to stop smoking, as they are more likely to tap controlled motivation rather than autonomous motivation. Practical implications to public health practitioners and consumers are discussed along with theoretical impli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