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설득 기술(DPT)과 자율성 침해에 대한 윤리적 분석 -‘스마트폰=슬롯머신’, 넛지, 디지털 아비투스 중심으로 (Digital Persuasive Design(DPT) and the Ethics of Autonomy : Slot-Machine Metaphor, Nudge, and Digital Habitu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5.06
25P 미리보기
디지털 설득 기술(DPT)과 자율성 침해에 대한 윤리적 분석 -‘스마트폰=슬롯머신’, 넛지, 디지털 아비투스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67권 / 271 ~ 295페이지
    · 저자명 : 오진영, 천명주

    초록

    본 논문은 디지털 설득 기술(Digital Persuasive Technology, DPT)이 간헐적 보상 구조와 시각적 넛지를 매개로 사용자의 인지 체계에 침투하여 자율적 판단 능력을 체계적으로 약화시키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규명한다. 이 연구는 스마트폰을 ‘슬롯머신’에 비유함으로써 도파민 감작과 전전두엽 기능 저하로 이어지는 인지적 조건화의 신경학적 메커니즘을 해명하고, 이러한 설계가 사용자를 능동적 소비자가 아닌 조건반사적 행위자로 전환시킨다는 점을 밝힌다. 나아가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개념을 확장한 ‘디지털 아비투스’ 이론을 통해, 반복된 플랫폼 상호작용이 외재적 설계 논리를 주체 내부의 인식도식으로 내면화함으로써 자율성이 실질적으로 붕괴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이러한 구조적 침해가 개인의 자기 통제력‧비판적 사고 능력을 잠식할 뿐 아니라 사회적차원에서 주의력 공유지를 고갈시켜 민주적 숙의와 공적 합리성을 위협한다는 점을 윤리적으로 논증한다. 결론적으로, 정보 보호나 사생활 문제에 국한된 기존 디지털 윤리담론을 넘어, 인간의 사유 가능성을 수호하고 확장하기 위한 규범적·정책적 개입과 비판적 사고 교육의 재구성이 필수적임을 역설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theoretically investigates how Digital Persuasive Technology (DPT) systematically undermines users’ autonomous judgment. by infiltrating their cognitive architecture through mechanisms such as intermittent reward structures and visual nudges. By framing the smartphone as a “slot machine,” this paper elucidates how algorithmically designed reward unpredictability triggers dopaminergic sensitization and suppresses prefrontal control, thereby reconfiguring decision-making from reflective deliberation to conditioned stimulus-response. Building on Bourdieu’s framework, this article theorizes a digital habitus as the iterative internalization of algorithmically orchestrated design logics, gradually misrecognized as self-generated cognitive schemata. This process transforms reflective agents into conditioned responders within pre-structured environments, thereby undermining self-regulation and critical reasoning while eroding the attentional commons essential for democratic delibe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dvocates a reorientation of digital ethics—beyond the narrow purview of privacy—towards normatively grounded regulation and a renewed pedagogy of critical thinking. Such a shift aims to expose and resist the algorithmic preconfiguration of cognition, thereby safeguarding cognitive sovereignty in an age of pervasive persuasive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