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돌프 폰 하르낙(Adolf von Harnack)의 복음과 문화와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f Adolf von Harnack’s Position on the Relation between Gospel and Cultur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20.06
24P 미리보기
아돌프 폰 하르낙(Adolf von Harnack)의 복음과 문화와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논단 / 100권 / 87 ~ 110페이지
    · 저자명 : 백충현

    초록

    복음과 문화와의 관계에 관한 논의가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진행되어 왔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리차드 니버의 『그리스도와 문화』, 폴 틸리히의 『문화의 신학』, 케빈 밴후저가 편집한 『문화신학』, 그리고 다수의 논문들이 있다. 19세기 전체에 두루 나타났지만 말엽에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 “기독교와 문화(Christianity and Culture)”라는 주제는 근대사회 속에서 기독교를 정당화하는 시도로서 문화개신교주의(Kulturprotestantismus) 안에로 혼합되었다. 바로 이때에 왕성하게 활동한 신학자 중의 하나가 아돌프 하르낙(Adolf Harnack, 1851-1930)인데, 그는 기독교 복음의 핵심을 탐색하면서 문화와의 관계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복음과 문화와의 관계에 관한 하나의 입장으로서 하르낙의 입장을 분석 및 정리하고, 또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그가 1899-1900년 겨울학기 베를린대학교에서 강연하고 1900년에 출판한 『기독교의 본질』을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하르낙에게는 복음과 문화가 어떤 관련성 또는 연관성을 지닌다. 복음은 본질적 내용으로서 알맹이에 해당되고, 문화는 역사적 형식으로서 껍질에 해당된다. 복음은 문화의 형식 또는 형태로 각 시대 속에서 다르게 드러나지만, 문화 안에는 복음이 포함되어 있다. 물론 양자의 관계가 역사 속에서 꼭 긍정적인 경우만 있는 것은 아니고 부정적인 경우도 존재한다.
    복음과 문화 사이의 관계에 관한 하르낙의 이러한 입장에는 대체로 동의할 수 있지만, 하르낙이 말하는 복음의 본질적 내용은 아주 단순한 세 가지, 즉 하나님의 나라와 그 도래, 성부 하나님 및 인간 영혼의 무한한 가치, 고차원적인 의 및 사랑의 명령이다. 복음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매우 단순주의적이며 환원론적인 태도이며 또한 본질주의적 태도이다. 그런데 이러한 복음 이해는 복음의 본질적 내용이 역사의 각 시대 속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표현되고 표출되었는지에 관하여 깊은 성찰을 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오늘날 복음이 역사의 시대의 문화와 어떻게 만나고 협력하고 비판하고 상호작용하는지 등등에 관하여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하르낙이 제시하는 복음의 내용에 대해서 오직 개인주의적이며 내면적인 태도에 스스로 만족하며 안주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복음에 대한 하르낙의 이해는 지나친 단순화의 오류에 빠져 있다. 특히, 기독론과 삼위일체론과 관련하여서는 더더욱 그렇다.
    이와 같은 논의들을 통하여 이 논문은 복음과 문화와의 관계에 관한 논의에서 중요한 것은 양자 사이의 관계성 자체이지만,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복음에 대한 이해, 즉 복음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라는 점을, 그리고 그렇게 하여야 복음과 문화 사이의 관계성을 더 온전히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Claude Welch, the theme “Christianity and Culture” appeared throughout the 19th century, but more markedly at the end of the century to be blended into Kulturprotestantismus, which attempted to justify Christianity in a modern society. At this time, Adolf von Harnack(1851-1930) worked vigorously, discussing the relation between Gospel and culture by exploring the core of Christian Gospel.
    Being focused on What Is Chrsitianity?(Das Wesen des Christentums) published in 1900 from his lectures at Berlin University in 1899-1900.
    this paper makes an attempt to analyze Harnack’s position on the relation between Gospel and culture, and to give a critical review of it. For Harnack, there are both distinction and connection between Gospel and culture. The former is a kernel as an essential content, whereas the latter is a husk as a historial form or mode. And Gospel and culture work together with each other at each period of history. While culture is concerned with the external side, Gospel is concerned with the internal side to seek the inner transformation of humans. And Gospel is related to God the Father, but not directly to Jesus Christ or the Holy Spirit.
    Though Harnack’s position might have been positive in his times, his reductionistic and essentialistic understanding of Gospel may cause an ignorance or indifference of diverse interactions between Gospel and culture. And it may cause an individualistic and inner escape or complacency, which may also disregard a complex approach to culture. And Harnack’s argument of the Hellenization of Christianity may not be persuasive any longer in terms of several critiques of it today.
    One of the implications of the critical examination in this paper is that the distinction and interaction between Gospel and culture are important, but that what is more important is how to understand the particular content of Gospel. Only then we may secure the relation between both more fu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