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체 장애인들의 스마트폰 활용에 대한 긍⋅부정적 인식에 대한 분석 (Investig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about Smartphone Use among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9.09
50P 미리보기
지체 장애인들의 스마트폰 활용에 대한 긍⋅부정적 인식에 대한 분석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논리성
    • 전문성
    • 실용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장애인의 디지털 접근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 제공
    • 🔍 스마트폰 활용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균형있게 분석
    • 💡 기술 개발에 대한 실질적인 제언과 정책적 시사점 제시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36권 / 3호 / 125 ~ 174페이지
    · 저자명 : 조재희

    초록

    본 연구는 지체 장애인들에게 있어서 스마트폰 이용의 중요성에 주목하면서, 지체 장애인들의 삶에 스마트폰이 미치는 긍⋅부정적 영향과 더불어 지체 장애 인들이 스마트폰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에 대해서 탐색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근거이론의 주요 코딩 기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했다. 총 21명의 지체 장애인들을 대상 으로 총 4회에 걸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이에 대해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 결과를 도출해 낼 수있었다. 첫째, 지체 장애인들에게 있어서 스마트폰은 외부와의 주요 연결고리 이며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여러 측면에서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지체 장애인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여러 가지 제약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지체 장애인들은 스마트폰 기술 개발이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데서 비롯된 기술적 소외감과 상대적 박탈감을 경험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에 대한 지나친 의존으로 인해 신체적 문제 (예. 거북목, 시력저하 등) 또한 경험하고 있었다. 넷째, 스마트폰 이용에 있어서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원래의 개발 목적과 다른 목적으로 기술을 활용하게 되는 ‘적응 구조화’가 발생함이 확인되었고, 지체 장애인들의 의견이 개발 과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요구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교육을 활성화 시킴으로써 지체 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기술 개발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주요 연구 결과는 지체 장애인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에 대한 연구의 폭을 넓히고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이끌어 낼수 있다는 이론적 함의를 갖는다.

    영어초록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smartphone use among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how smartphone uses would affect those people’s everyday lives and how thos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ould perceive about smartphone use. This research collected qualitative data through FGI (focus group interview) and analyze those data through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In total, 21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FGI. The following main points could be found. First, smartphone led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be connected to the world outside and improved those people’s quality of lives. Second, in spite of diverse advantages from smartphone uses, those people experienced various barriers hindering smartphone uses. Third, thos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experienced relative deprivation mainly because smartphone technologies were mostly developed for non-disabled people. Moreover, they often had physical problems mainly because of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Fourth, it could be found out that there was an adaptive structuration of using particular functions of smartphone for different purposes from the originally targeted ones. Lastly,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those people with more chances of participating in media education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lives. Moreover, it is also strongly recommended that voice from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needs to be reflected on the process of developing new smartphone technolog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