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마트폰 아이콘 형태와 색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con Type and Color of Smart Phon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2.12
9P 미리보기
스마트폰 아이콘 형태와 색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8권 / 4호 / 369 ~ 377페이지
    · 저자명 : 이솔잎, 김현기

    초록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현대인들에게기호가 의도했던 메시지들을 별 어려움 없이 전달되어야 함은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디지털 미디어의중요한 전달 메시지 역할을 하고 있는 스마트폰 아이콘을 형태와 색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색은 인간정서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사람의 심리는개인마다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색채를 심리적 측면에서 연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색채에 대한반응 가운데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반응들을 통해 스마트폰의 아이콘을 사용자의편의를 위해 어떠한 색채가 필요한지 연구하였다. 분석대상은 스마트폰의 대표적인 모델인 겔럭시S2와 아이폰4로 선정하여 메인메뉴 아이콘을 먼저 게슈탈트에 전경과 배경의 원리로 형태로써의 아이콘과 구조화된 형태로써의 아이콘을 나눈다. 나누어 진 것을 형태의 하나인 기호학에 의해 기호학 3가지로 분류하고분류된 도상, 지표, 상징의 아이콘에 나타난 색채를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형태로써의 아이콘은 전체아이콘 총 37개 중 15개로 대부분 갤럭시S2의 아이콘이 차지하고 있었고, 구조화된 형태로써의 아이콘은22개로 아이폰4 아이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도상적 아이콘은 메인 메뉴 아이콘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차지하였다. 색채는 안정적이고 눈의 피로감을 덜어주는 푸른색을 주로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지표적 아이콘은 도상적 아이콘보다 개수는 적지만 좀 더 다양한색을 사용하여 직관성이 떨어지는 아이콘을 보다 적극적인 색상을 사용하여 주목을 이끌었다. 상징적 아이콘은 안정적인 파란색과 가시성을 높일 수 있는 빨간색을 같이 사용하였다. 아이콘의 디자인이 단순히시각적인 자극에 머물지 않고 더욱 효율적인 전달성을 위해 아이콘 개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함과 동시에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Under a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o transmit messages, which are intended by a symbol,to the contemporary people without any difficulty is an important issue.
    This paper plans to classify the smart phone’s icon, which plays a role of an important transmitting message in digital media, in three types of icon,index, and symbol in terms of Peirce’s Semiotics and thus analyze the psychology of color revealed therein.
    The color is very closely connected to a human sentiment and a human mentality is different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Accordingly, to study the color in a psychological aspect is a difficult task.
    Nevertheless, there are several reactions commonly found among most people in respect of the reaction on color. Through such, this paper examined which color would be necessary for the purpose of a smart phone’s icon and a user convenience. And this paper tried to suggest a guideline to develop the icon and find a relevant direction for development for more efficient transmissibility of an icon design beyond a mere visual stimulation.Under fast changing social circumstances, it is an important matter that the messages symbol means should be delivered without difficulty to modern people. Therefore, researcher is to analyze the icon type and color of smart phone that plays a key role in delivering the message of digital media. As color is quite closely related to human emotion and each person’s feeling is different so that it is difficult to study the color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y. However, the researcher studied on what colors in smart phone icon would be needed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based on the commonly found reactions from most of people in terms of reaction to colors. The targets for analysis were GalaxyS2 and iPhone4, representative models of smart phone and icons in main menu were divided into icon in the form of the theory of Gestalt and icon in the form of structuralization.
    These divided types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based on semiology and then, the colors shown in the icons of icon, index and symbol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in the form of the theory of Gestalt took up 15 out of total 37 icons and most of them were from GalaxyS2 and icon in the form of structuralization took up 22 out of total 37icons and most of them were from iPhone4. Iconic icons took the largest portion in main menu. In terms of color, blue color was used the most because this color looked stable and relieved eye-strain.
    Index icon is less used than iconic icons but, it attracted more attention by using striking color or diverse colors for icons. As for symbolic icon, blue color for stable feeling and red color for better visibility were used together. The researcher presented guideline for the development of icon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efficient communicability not to make icon design stay at just visual stimul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