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 민요의 시김새 연구 수심가와 몽금포타령을 중심으로 (Study of Sigimsae in North Korean Folk S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07.12
24P 미리보기
북한 민요의 시김새 연구 수심가와 몽금포타령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북문화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북문화예술연구 / 1호 / 55 ~ 78페이지
    · 저자명 : 서한범

    초록

    한국음악의 특징을 나타내는 음악적 요소로 장단이나 선율 못지않은중요한 요소가 곧 시김새이다. 시김새야말로 그 지방의 음악적 특징을 분명하게들어낸다. 서도소리의 특징을 이해하려면 먼저 서도소리의 시김새를 이해해야 한다. 서도소리의 시김새는 명창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어떤 명창은 세세하게 약 40여 종을 제시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다른 지방의 민요에 비하여 서도소리를 특징지을 수 있는 대표적인 수심가와 몽금포타령의 창법과 관련하여 4종의 시김새를 논의해 보았다. 이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끌어 올리는 표현법이다. 이 시김새는 어느 음을 낼 때, 처음부터 곧바로제 음고(音高)대로 내는 것이 아니라, 본음보다 낮은 음으로 시작하여 본음까지유연하게 들어 올리는 표현법이다. 이처럼 본음보다 낮은 음에서 시작하여 본음까지 들어 올리는 표현법은 곡선의 미를 강조하기도 하나 다소 무거운 느낌을 갖게 한다. 두 번째는 요성(搖聲)의 표현법이다. 요성의 시김새에는 성악이나 기악의 각 장르마다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그러나 북한민요, 특히 서도의 평안도나황해도의 요성은 특이하다.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처음의 음을 본음과 한음위, 또는 본음과 한음 아래의 음을 풀어주듯이 여유 있게 떨어 주는 방법(용수철처럼)과 다른 하나는 떠는 중간에 그 폭을 좁혀 줌으로 해서 결정적인 긴장감을유발하는 표현법, 즉 졸음목을 쓰는 방법이 있다. 서도소리를 특징짓게 하는 표현법이라고 한다면 바로 후자의 떠는 방법인 졸음목의 사용이라 하겠다. 세 번째는퇴성의 표현법이다. 퇴성 역시 한국음악의 특징적인 시김새의 하나이다. 그러나북한의 민요는 퇴성법이 독특한 편이다. 즉 어느 음에서 아래음으로 하행할 때, 하행하는 것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거나, 또는 곧바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잔잔한 요성을 하면서 하행한 다음, 바로 그 음을 그대로 바깥으로 밀어 올리는 시김새이다. 서도의 명창들은 이를 ‘반음(半音)’이라고 표현한다. 네 번째는 꺽어내는시김새이다. 이러한 표현법은 서도 민요의 대부분이 그렇고, 특히 수심가에서 자주 나타나는 특징적인 시김새로 5도 아래로 떨어질 때, 곧바로 뚝 떨어지는 것이아니라, 4도 아래의 중간음에 악센트를 주어 전성(轉聲)하듯이 강하게 표현하는시김새이다. 마치 시조에서 4도 아래로 뚝 떨어져 종지하는 형태와도 유사하다.
    이러한 표현적인 기능을 서도소리 창자들은 ‘꺾는 소리’라고 칭하고 있다. 경기민요에서는 5도 아래의 음으로 곧바로 떨어져 요성을 하지만, 서도 민요는 한번 꺾은 다음 떨어주는 것이 특징이다.
    그 외에도 세분된 여러 가지 시김새의 유형이 있으나, 이들의 구체적인 연구는 다음 기회로 미루기로 한다.

    영어초록

    Sigims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Korean music like rhythm and melody. It represents musical characteristics in each region. At first, Sigimsae of Seodo should be understood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Seodo Sori. Sigimsae of Seodo Sori is variously presented by singers. Someone classifies about 40 different kinds of Sori in particular. In this paper, four different kinds of Sigimsae are compared to other regional folk songs to classify Seodo Sori related with vocalism of Susimga and Monggeumpo taryeong.
    The first is a raising note.
    This sigimsae prefers to be started from a lower note rather than to directly express the note of exact pitch and the lower note of the Sigimsae is supplely raised up to main note.
    The second is a vibration.
    The vibration of Sigimsae has various styles. Typical one is that first note is easily vibrated with one upper note and main note or one lower note and main note like spring. Another is making a decisive tension that narrows the width in the middle of the vibration, which is called as Joleummok. Using joleummok is characteristic of Seodo Sori.
    The third is a descending note.
    It is dropping a note with vibration and raising up a note directly. It is called as ‘Baneum’ by Seodo’s singers.
    The fourth is a grace note.
    It is frequently found in most Seodo folk songs, especially in Susimga. The characteristic of Sigimsae is to slowly descend a note 5 degree lower and make a strong accent in the middle note of 4 degree lower. Seodo Sori’s singers name it as “Kkeokneunsori”. In Gyeonggi folk song, the note is vibrated after being straightly dropped five degree lower. However the vibration after turning a note is characteristic of the Seodo’s folk song.
    There are many different kinds of Sigimsae to study, but they will be treated in further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