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환경위기’ 문학은 무엇을 할 것인가 - 1990년대 생태비평의 성격과 특질에 대하여 (What Can Literature Do in the ‘Environmental Crisis’? - A Study on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Ecocriticism in the 1990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25.04
38P 미리보기
‘환경위기’ 문학은 무엇을 할 것인가 - 1990년대 생태비평의 성격과 특질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39호 / 53 ~ 90페이지
    · 저자명 : 홍래성

    초록

    주지하다시피 1990년대로 접어들면서부터 일상은 물론이고 문학계에서도 환경문제를 둘러싼 관심이 높아졌던바, 창작 쪽과 비평 쪽 모두에서 관련 성과들이 활발하게 발표되었다. 이 글은 그 가운데서도 비평 쪽에 초점을 맞추고서 그 총체적인 상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관련 언설 전반을 두루 섭렵하되 쟁점화를 위해 ① 왜 문학이 환경문제를 다루어야 하는가, ② 환경문제를 다루는 문학의 적절한 명칭 및 분류는 무엇인가, ③ 대안으로서의 동양 사상은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가 등 세 개의 항목으로 나누어 다가가는 방식을 취했다.
    ①에 대해서는 여러 언설을 보아도 고민한 흔적이 많이 찾아지지 않았다. 아무래도 당연하다고 생각했기에 구태여 밝힐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던 탓이다. 다만 그런 중에서도 문학이 지니는 일반적인 성질에 기대어 이유를 제시한 경우를 두 가지 정도 찾을 수 있었다. 하나는 문학의 본질에 기대하는 관점을 따른 것이고 다른 하나는 문학의 가치 및 효용에 기대는 관점을 따른 것이다.
    ②에 대해서는 논자마다의 기준이 세워져 있었다. 명칭을 둘러싸고서는 각자가 수긍할 만한 이유와 함께 ‘문학’에 ‘녹색’, ‘환경’, 생태’, ‘생명’ 등을 붙이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다만 명칭을 정할 때의 정밀함에 비겨 실제 작품을 어떻게 분류했느냐를 살펴보면 여러모로 아쉬움이 남는다. 작품이 어떠한 양상을 내보이느냐에 기초하여 구획해 놓은 정도로 머무르는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③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비슷한 논조가 펼쳐졌다. 현재의 환경문제는 주체와 객체를 철저히 구분하는 서구식 근대적 사고로 인해 발생한 것이니만큼 주체와 객체 간 합일을 지향하는 동양 사상을 통해 근본적인 대안을 모색해 나갈 수 있다는 주장으로 요약, 정리가 가능하다. 하지만 여러 대목에서 역사성을 소거한 채 추상적 맥락으로 동양 사상을 이상화했다고 비판받을 소지가 있다.
    근래에 들어 문학과 환경문제를 결부 짓는 견해가 다시금 활발히 제기되고 있다. 온고지신이든 반면교사이든 1990년대의 앞선 사례들을 참고한다면 더욱 생산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 데에 도움받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s is well known, since the 1990s,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has increased not only in everyday life but also in the literary circles, leading to active discussions and publications in both creative writing and literary criticism. This paper focuses on the latter, aiming to examine the overall landscape of environmental discourse in literary criticism. While broadly reviewing related discussions, the study organizes its approach into three key issues: ① Why should literature address environmental issues? ② What are the appropriate terms and classifications for literature dealing with environmental issues? ③ Is the Eastern perspective a persuasive alternative? Regarding ①, there is little evidence of deep contemplation in existing literary criticism. This is likely because the necessity of literature addressing environmental issues was taken for granted. However, two notable perspectives can be identified: one based on the intrinsic nature of literature and the other on its value and utility.
    For ②, different critics have proposed their own standards. In naming this literary field, various terms such as “green”, “environmental”, “ecological”, and “life” have been attached to “literature,” each with a reasonable justification. However, while there was careful consideration in naming, the classification of actual literary works often appears lacking, generally remaining at a broad categorization based on surface-level characteristics.
    As for ③, a common argument prevails: since modern environmental problems stem from Western rationalism, which strictly separates subject and object, a fundamental alternative can be found in Eastern thought, which seeks unity between the two. However, this perspective risks idealizing the East in an abstract manner, neglecting historical complexities.
    Recently, efforts to link literature with environmental issues have regained momentum. Whether by learning from past achievements or drawing lessons from past mistakes, referring to 1990s literary criticism can help guide this field in a more productive dir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