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圖經』譯註」(8) -권7, 「冠服」편을 중심으로- (Goryeodogyoung Annotated (8))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8.08
46P 미리보기
「『高麗圖經』譯註」(8) -권7, 「冠服」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72호 / 251 ~ 296페이지
    · 저자명 : 최은규, 이진한, 김규록

    초록

    『고려도경』은 1123년(인종 1)에 宋 사절단의 일원이었던 徐兢이 고려에 한 달 남짓 방문하여 견문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본고는 권7, 「冠服」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해당 편의 서문인 「冠服」은 東夷의 습속과 『後漢書』 東夷列傳 高句麗條의 일부를 인용하여 고구려의 관복제도를 설명하였고, 고려가 송의 관복제도에 따랐다고 파악했다. 전자는 당시 중국인들이 고려와 고구려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였음을 알려주며, 후자는 송의 문물을 본받는 고려를 가상히 여기는 서긍의 인식을 담고 있다. 「冠服」편은 「王服」, 「令官服」, 「國相服」, 「近侍服」, 「從官服」, 「卿監服」, 「朝官服」, 「庶官服」으로 구성되는데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관직의 성격과 계층에 따라 분류하였다. 「王服」은 왕의 복식에 대한 기록으로, 常服, 祭服, 朝服과 중국 사신이 왔을 때 입었던 公服으로 나누어 서술했다. 고려 국왕의 常服은 烏紗高帽, 窄袖緗袍, 紫羅勒巾으로 구성되고 朝服은 幞頭와 束帶를 더하였으며 祭服은 冕을 쓰고 圭를 들었다. 한편 고려 국왕의 복식은 황색이었는데, 중국 황제의 조서를 받을 때는 紫羅公服을 입어 송에 대한 신하의 예를 갖추었다. 다음으로 「令官服」, 「國相服」, 「近侍服」, 「從官服」 등은 紫文羅袍에 金魚袋를 패용하는 것이고, 「卿監服」, 「朝官服」은 비문라포에 은어대를 패용하는 것이며, 「庶官服」은 綠衣를 착용하는 것이다. 『고려도경』에는 복식에 대한 설명과 그것을 입는 대상자들을 상세히 기록하여 복식사와 관제를 연구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반면에 『고려사』 여복지의 기록과 상이한 부분도 있기 때문에 정밀하게 비교하여 어느 것이 사실을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영어초록

    ‘Goryeo Dokyeong’ describes that Seogeung, a member of delegation from Song Dynasty, visited and learned Goryeo for a month in 1123 (Injong 1). This study focuses on Book 7 ‘Gwanbok (official uniform)’. The preface of ‘Gwanbok(冠服)’ explains the gwanbok system of Goguryeo by quoting Dongee’s convention and some part of ‘Huhanseo’ Dongee-Yeoljeon Goguryeo-jo, contending that Goryeo followed the gwanbok system of Song Dynasty. The former shows that the Chinese people could not clearly differentiate Goryeo from Goguryeo at that time, and the latter indicates Seogeung’s perception of Goryeo accepting the culture of Song Dynasty.
    The main body consists of ‘wangbok(王服)’, ‘yeonggwanbok(令官服)’, ‘guksangbok(國相服)’, ‘geunsibok(近侍服)’, ‘jonggwanbok(從官服)’, ‘kyeonggambok(卿監服)’, ‘jogwanbok(朝官服)’, and ‘seogwanbok (庶官服)’, divid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classes of the public office. Recording king’s costumes, ‘wangbok(王服)’ divides them into sangbok, jebok, jobok, and gongbok, which was also worn by the Chinese ambassador. Goryeo king’s sangbok is made up of osagomo, chaksusangpo, and jaranokgeon. Jobok has bokdu and sokdae, and jebok adds myeon and gyu. Besides, Goryeo king’s costumes were yellow, and when he received a word from the Chinese emperor, he wore jaragongbok to show vassal homage to Song Dynasty.
    Next, ‘yeonggwanbok(令官服)’, ‘guksangbok(國相服)’, ‘geunsibok(近侍服)’, and ‘jonggwanbok(從官服)’ were to wear jamunrapo with geumeodae, ‘kyeonggambok(卿監服)’ and ‘jogwanbok(朝官服)’ were to wear bimunrapo with euneodae, and ‘seogwanbok(庶官服)’ was to wear nogui. ‘Goryeo Dokyeong’ contains detailed explanations of costumes and wearers, contributing to the research on the costume history and the uniform system. On the other hand, as some parts of its content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Goryeo History’ Yeobokji, it is necessary to precisely compare them and confirm which one is more factu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