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이 고려와 고구려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였음을 알려주며, 후자는 송의 문물을 본받는 고려를 가상히 여기는 서긍의 인식을 담고 있다. 「冠服」편은 「王服」, 「令官服」, 「國相服 ... 은 冕을 쓰고 圭를 들었다. 한편 고려 국왕의 복식은 황색이었는데, 중국 황제의 조서를 받을 때는 紫羅公服을 입어 송에 대한 신하의 예를 갖추었다. 다음으로 「令官服」, 「國相服 ... ‘wangbok(王服)’, ‘yeonggwanbok(令官服)’, ‘guksangbok(國相服)’, ‘geunsibok(近侍服)’, ‘jonggwanbok(從官服)’, ‘kyeonggambok
장제전 훼복감장 대위사죄??[r?nr?n] ① 부드럽게 아래로 드리운 모양 ② 한들거리는 모양 ③ 천천히 움직이는 모양hu? fu ???ˇ ??? 毁服:降低官服等?表示自?각설하고 두 ... 병마 이경도래 상거불과수리료여기까지 말하니 곧 정찰 기병이 들어와서 보고하였다. “구자등 여러 나라의 병마는 이미 와서 서로 거리가 몇 리에 불과합니다!”超令于?王及將校等各歸本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