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패러디 항변의 도그마를 넘어서 (Beyond the Dogma of Parody Doctrin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5.03
44P 미리보기
패러디 항변의 도그마를 넘어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대학교 법학 / 56권 / 1호 / 167 ~ 210페이지
    · 저자명 : 김우성

    초록

    본 논문은 패러디 항변을 둘러싼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고, 저작권법에 도입된 미국의 공정이용 법리가 패러디 부분에서 어떻게 작동할 것인가에 대해 다룬다. 패러디는 원작 자체에 대한 비판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만 한정된다는 우리 판례의 태도와 달리 현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패러디는 위 범주를 넘어서고 있다. 즉, 원작에대한 비판뿐만 아니라 사회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는 경우나 혼성모방적 이용 또한패러디로 넓게 인정되고 있다. 이는 현실에서 사용되는 패러디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여 왔음에 반해, 법학에서의 패러디 항변은 과거에 정립된 성립요건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그러나 실제 사용되는 패러디 역시 표현의 자유의 측면이나 저작활동에 독창적인창작성이 인정된다는 점에서 그 보호의 필요성이 있다. 이에 세계 각국은 입법적으로 이를 보완하거나 판례를 변경하여 대응하고 있다. 개정 저작권법이 미국의 공정이용 법리를 도입함으로써, 우리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사회에 대한 비판을 담은 패러디 작품이나 혼성모방적 작품을 포섭할 수 있는 입법적 토대가 생겼다. 그럼에도불구하고 법원은 여전히 그와 같은 내용의 항변을 인정하는 데 소극적이며, 원작의차용이 문제된 경우에 대해 원작의 보호 범위를 축소하거나 실질적 유사성을 부정하는 방법으로 각 사안별로 구체적인 타당성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판례의 법리 구성은 법관의 자의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 있고 공정이용 항변과의 관계에서 논리적 모순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원작에 대한비판적 패러디만이 패러디 항변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다는 기존 법리에 경도된 것으로 적절하지 않다. 이는 입법으로 공정이용의 법리가 도입되었음에도 항변의 범위를여전히 좁게 보아 기존의 패러디 항변 도그마를 벗어나지 못한 결과가 될 수 있다. 근대 소유권 절대의 원칙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듯, 저작권은 절대적 권리가 아니며 공익과의 관계에서 그 보호 범위가 조정되어야 한다. 원작에 대한 공정한 이용이라는공정이용 항변의 범위를 체계화함으로써, 공정이용에 부합하는 패러디 작품 등을 보호하고 원작자의 저작권 남용을 막아 풍부한 문화적 풍토 형성을 도모함이 타당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ovides an in-depth description of the parody doctrine. It is consistedof 3 parts; here organizing the existing debates, summarizing the usage of parody inour life, criticizing the precedents of South Korean court are. In first parts, focusingon the adaption of fair use doctrine in copyright law, we discuss about the requisitesof parody doctrine, the relevancy between fair use doctrine and parody doctrine, thescope of rights which can be infringed by the parodies. In second parts, we talkabout the parody which is using in real life; like art, drama, show program, clothes,ads, and writings. Although the definition of parody in law field is narrow (it is limitedto direct parody), the concept of parody in real life covers the vehicle parodyand the pastiches. Based on the necessity to protect these expressions, many countriesare amending the copyright law or breaking the precedents. In third parts, weanalyze and criticize this logic which is taken by the Korean court. Even though weadapted the fair use doctrine, the South Korean courts are still passive about usingthis doctrine. They permit the parodies by limiting the copyright’s scope of originalwork (of art) or judging the similarity between two arts. But it has limits. The protectionof copyright is still significant, but it should not be abused. The fair use doctrinecan be the solution for adopting the parodies into the law fiel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