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리 정의와 공양을 난해한고전에서 이해하기: <밀란다팡하>의 딜레마 이론에서 (Understanding the Definition and Worship of Sarīra in a Knotted Classic: Regarding the Dilemma Theory of Nāgasena and King Milinda)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3.12
25P 미리보기
사리 정의와 공양을 난해한고전에서 이해하기: &lt;밀란다팡하&gt;의 딜레마 이론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03호 / 1 ~ 25페이지
    · 저자명 : 원혜영

    초록

    밀린다팡하(Milindapañha)에서는 ‘붓다의 사리 공양에 관련된 사건들’의약점을 지적한다. 딜레마 이론들은 서로 상충되는 요구가 있을 때 그것이 과연 해결되어야 할 문제인가 혹은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등의 질문에만 관심을 두고 있는경우가 많다. 밀린다(Milinda)왕과 나가세나(Nāgasena)가 대론을 시작할 때, 양자 사이에 정해진 대등한 입장에 따라 진리를 탐구하는 기본적 태도는 대론에서 일관되게보이고 있고 인도와 그리스를 대표하는 두 사람에 의한 수준 높은 대론이라는 인상을 짙게 풍긴다.
    비불교도들이 질문하는 내용의 대부분은 이런 딜레마적인 요소가 다분하다. 상충되는 요구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으로 먼저 구분하고 그에 따라 상이한 대응방법을 찾으려는 노력이 불교도들에게 부족하다. 붓다의 열반은 새로운 공동체의 시작으로 해석될 여지를 충분히 남겨두면서도 그 상황들은 사리 공양및 숭배에 집중시킨다. 사리 공양의 의미는 미래 지향성과 함께 부인할 수 없는 심오한 종교적 영감을 지녔다. 이런 의미 있는 주제들에서 ‘붓다의 사리 공양의 재정의’를 통한 대론들을 양도논법을 통해 알아본다. 이것은 사리 숭배의 역사적 의의를 파악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영어초록

    In Milindapañha,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are weak pointsin“incidents regarding Buddha’s sarīra.” In many cases, dilemmatheories usually focus only on whether or not conflicting demandsare problems that require solution, and if so, how they should besolved. When King Milinda and Nāgasena begin their discussion,they constantly show their basic attitude of searching for the truthon even ground, and it also gives a strong impression that their talksare highly cultured between a pair who represent India and Greece.
    Questions made by non-Buddhists are mostly related to thedilemma factors. Buddhists do not tend to exert enough effort inclassifying conflicting issues first into those that can be addressedand then, on those that cannot be addressed, and then finally,finding out corresponding answers. The nirvana of the Buddhaleaves room for interpretation as the beginning of a newcommunity, yet the situations end with a focus on the worship ofand offerings to sarīra. Offerings to sarīra signify a focus towardsthe future and an incontrovertibly deep spiritual inspiration. Withthese meaningful subjects,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iscussionsabout a “re-defining of Buddha’s sarīra” as a logical dilemma. It isintended to identify historic meanings of worship regarding sarī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