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케이팝(K-Pop), Korean과 Pop Music의 기묘한 만남 - K-Pop의 한국 대중음악적 진정성에 대한 탐구 (K-Pop: a Peculiar Encounter of Korean and Pop Music - Inquiry into K-Pop’s Korean Authenticit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6.02
27P 미리보기
케이팝(K-Pop), Korean과 Pop Music의 기묘한 만남 - K-Pop의 한국 대중음악적 진정성에 대한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73권 / 1호 / 77 ~ 103페이지
    · 저자명 : 이수완

    초록

    필자는 한국을 의미하는 K와 미국적 대중음악을 의미하는 Pop 간의긴장이 케이팝 이해에 핵심이라고 보고, 케이팝에는 K에 상응할만한뚜렷한 한국 음악적 정체성이 부재하다고 평가하며 케이팝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시도한다. 한국의 대중음악을 지칭하는 ‘가요’와 달리 해외에서 명명된 케이팝은 1990년대 이후의 문화산업이 주축이 되어 만든 서구 음악 장르 특히 댄스음악을 의미한다. 이는 국내 대중음악산업이 위기에 대처하면서 음악산업의 해외진출을 모색하는 가운데 형성되었다. 기존의 한국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가요’는 한국 대중음악사의태동기에 한국의 지역적 시대적 정체성을 대변하는 음악으로 기능하였다. 가요의 주축을 이룬 트로트의 저급하고 통속적인 감성을 표현하는순 한국어 뽕끼를 케이팝이 버렸다는 것은 케이팝이 가요에서 선을 긋고 지역적 정체성을 탈피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케이팝의 가사와 사운드는 특정 지역과 무관한 개인적 정서를 주로 표현하고, 보편적 욕망에충실하며 솔직한 태도, 소비 중심적인 생활방식을 드러낸다. 서구 대중음악 중 가장 상업적이며 인공적인 팝 음악은 음악적 세계화의 결정체로서 음악적 보편성을 추구하는데, 케이팝 역시 이 특성을 공유한다.
    그런데 케이팝은 음악적 통속성을 더 복합적인 방식을 통해 강화시켰는데, 이는 트랜스 미디어 전략을 통해서 가능했다. 보편적 호소력을갖는 춤의 강조, 후크송은 케이팝을 청각예술이 아니라 시청각적 공연예술로 변화시켰고 한국 대중음악의 성격을 바꿔놓았다. 케이팝의 아이돌 혹은 스타시스템은 대중문화 시장의 리스크에 대처하고 경제적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특화 발전하였다.
    결과적으로 케이팝의 본질은 글로벌 뮤직 비즈니스라고 할 수 있고‘케이’는 허구적 형용사이며 수출을 위한 브랜드명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 대중음악산업은 초국적 대중음악을 지향하면서 본질주의적 로컬정체성 보다는 문화세계주의 의식을 강화하였고 이 과정에서 한류의문화적 정체성은 혼종적 다국적 문화가 되었다. 또한 케이팝은, 향유계층이나 민족성관련 진정성이란 가치를 버리고 숭배를 위한 상품이된 21세기의 대중음악의 현 상태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가 되고있다.

    영어초록

    I approached K-Pop with a rather critical look. The tension between K which represents Korea and Pop which means American Popular music is essential in understanding K-Pop. The term “K-Pop” was named abroad and it means Idol-based -Western- dance- music. And the culture industry plays a leading role in its production. “Kayo” which is the Korean word for Korean Popular music had been considered as authentic Korean popular music, historically. However, Kayo is replaced by “K-Pop” which discards Korea’s musical identity and historical context. This elimination is due to K-Pop’s target of musical globalization. Instead, it took on contents of American popular music and gained musical universality. The proofs of musical universality are individual emotion’s expression regardless of local character and dance oriented music by means of trans- media strategy. These traits maximize economic profit.
    K-Pop aims to become a transnational popular music and in this process ‘K’ transformed into a brand name for exporting goods. K- Pop became a fictitious concept. K-Pop shows that class, nationality, gender based authenticity is thrown away in 21th century popular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