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人物 圖像 版畵 收錄 朝鮮本에 대한 一考察 (A Study on the Books Containing Portrait Engraving Printed in the Joseon Period)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5.09
37P 미리보기
人物 圖像 版畵 收錄 朝鮮本에 대한 一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63호 / 235 ~ 271페이지
    · 저자명 : 최경훈

    초록

    조선시대 간본의 특징 가운데 하나로 판화의 수록이 적다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인물 판화가 수록된 경우는 더욱 그렇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인물 판화가 수록된 서적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그 특징과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물 도상만이 수록되는 종합 도상집은 『역대군신도상(1526)』과 『군신도상[17c]』이 있다. 전자는 중국 인물 108인(임금 40인, 신하 68인)이 수록된 목판본(음각)으로 중종의 명으로 이행 등이 약전․찬문을 짓고 도화서 화공이 그림을 그려 편찬되었다. 현재 국내외에 7종이 전하며, 일본에도 전래되어 17세기에 목활자와 목판본 간행으로 이어졌다. 후자는 목록과 도상만으로 구성된 목판본(음․양각)으로 君臣의 구분 없이 연대순으로 盤古부터 許謙까지 194인을 수록한 책이며, 이번 연구를 통하여 처음 소개되는 유일본이다. 둘째, 삽도로 수록된 우리나라 인물 도상은 문집이나 실기에 주로 수록되어 있다. 이들 모두는 당대 공경과 귀감의 대상이 되는 인물들로, 조선 전기에는 수록되지 않다가 1573년 길재가 『야은선생행록』에 수록되는 것을 시작으로 문집의 중간본에서 추가되는 현상을 보였다. 셋째, 인물 도상이 수록되는 것은 圖像을 보면서 善과 不善을 알고 행적을 본받고 경계하기 위한 鑑戒가 주된 목적이었으며, 한편으로 문집에 수록되는 것은 지역과 가문의식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One of the character of the books published in Joseon period is small in number containing engraving. Especially portrait engraving is much less. Thu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the books containing portrait engraving,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books only containing portrait engraving are YeokDae GunSinDoSang and GunSinDoSang. The former containing 108 kings and subjects was compiled by Yi-Heng and the painters of painting bureau on the order of the king Jungjong, and published with wooden plate in 1526. This book was introduced to Japan and published several times. The latter containing 194 kings and subjects is anonymous, and published with wooden plate in 17th century. It i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Second, the books containing portrait engraving with illustrations was anthology or biography. All the person illustrated those books was model of reverence in those days and broadly the illustrations were added to the second edition of anthology from the 16th century. The first anthology containing portrait engraving was YaEunSunSengHengRok published in 1573. Third, the purpose of containing portrait engraving in the books was to emulate those great person by distinguishing good and evil. Meanwhile, It could be reflection of consciousness of their region or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