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이야기판의 구연 양상과 구술문화적 의미 (The Aspect of Modern Storytelling Sites and Oral-Cultural Significance)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6.06
43P 미리보기
현대 이야기판의 구연 양상과 구술문화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42호 / 227 ~ 269페이지
    · 저자명 : 박현숙

    초록

    이 글에서는 전통적인 이야기 연행현장이 사라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최근 자발적으로생성되고 있는 새로운 이야기판에 주목하였다. 현대의 새로운 이야기판의 형태는 할머니가손주에게 편안하게 옛날이야기를 들려주는 전통 설화 구연 방식의 생활현장형과 이야기 대회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이야기 경연을 펼치는 시합형이 있다. 이 중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시합형 이야기판 <전국 중ㆍ 고등학생 이야기대회>와 실레마을 이야기잔치 <어린이 이야기 겨루기>, <전국 이야기시합> 을 논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글은 전통 이야기판의 계승적 관점에서 시합형 이야기판에서의 설화 구연 양상과 특성을 살피고,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시합형 이야기판의 구술문화적 의미를 찾는 것이 목적이다.시합형 이야기판에서는 전통설화 구연과 다양한 변이 형태의 설화 구연 양상이 드러난다. 전통설화 구연에서는 전통 이야기꾼의 대중과의 소통, 구연자들이 전통설화 가운데 전설에서 서사의 참신성을 확보하려는 경향이 긍정적으로 드러났다. 구연자의 인위적이고 기술적 표현 방식과 청중을 배제한 일방적 이야기판 운용 방식의 경향이 부정적으로 드러났다. 다양한 변이 형태의 설화 구연에서는 구연자들이 설화 재해석을 통해 각색형, 조합형, 창작형 설화로 재구성하여 구연함으로써 전통이야기꾼의 재생자, 각색자, 합성자, 창작자의 역할을 계승하고 있다. 그리고 시합형 이야기판은 설화 구술문화 전통의 계승, 현장성이 살아있는 연행, 유능한 이야기꾼 발굴ㆍ 양성과 교류, 전승력 있는 새로운 스토리 발굴의 장으 로서 구술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시합형 이야기판은 아직까지 여러 개선사항들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수동적으로 이야기를 수용만 하던 향유자를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창조자로 변화시켜내고, 이야기 주인으로서의 주체성을 성장시켜 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Now that traditional storytelling field have disappeared, this paper notices new storytelling stages which are creating spontaneously. The form of new modern storytelling stages is divided into two types; a life-field type and contest type. The life-field type uses a traditional method of storytelling such as grandmother tells folktale softly to her grandchild. The contest type is the way that storytellers participate in the storytelling contest and compete with others.
    Of these contests, this paper aims the storytelling contest to be held regularly; ‘Nationwide storytelling contest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Silleh village’s storytelling festival ‘Storytelling contest for children’ and ‘National storytelling contest’.
    This paper analyze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implementing the folktale in the contest type of storytelling stage from the viewpoint of inheriting the traditional storytelling stage. This paper also finds oral-cultural significance of the contest type of storytelling stage which is created constantly.
    The contest type of storytelling stage reveals the storytelling aspects of traditional folktale and its various mutated forms. The storytelling of traditional folktale reveals the communication among the traditional storyteller and audiences, and positively shows the storyteller’s tendency to seek the freshness of narrative from legends among the folktales. Otherwise, there are negative aspects about storyteller’s artificial and technical expression method and his/her one way tendency to lead the storytelling stage which the audiences was ruled out. In the narrating folktales of various mutated forms, the storytellers succeed to the role of teller, adaptor, composer, and creator as a traditional storyteller through the narrating reconstructed folktales of adaptation, combination, and creation type on the basis of the reinterpretation of folktales. The contest type of storytelling stage has a oral-cultural significance about a succession of traditional oral-culture, a vivid spot-friendly performance, a discovery, training and exchange of skillful storytellers, and hunting new stories which have a power of transmission.
    The contest type of storytelling stage still requires to be improved. However, it can develop meaningfully the independence as a host of the story as well as convert the passive audience into the voluntary and active creat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