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前期 寺刹版 刊行佛書 考察 (Study of Buddhist Texts Published by Buddhist Temple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8.08
33P 미리보기
朝鮮前期 寺刹版 刊行佛書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49호 / 163 ~ 195페이지
    · 저자명 : 김자현

    초록

    이 글에서는 조선 전기 사찰판 불서의 간행배경과 이 시기 불서가 다량으로 간행된 사찰들 중 특징이 도출되는 사찰들을 중심으로 불서의 간행양상을 살펴보았다.
    15세기 조선에서는 왕실의 불서간행이 두드러졌으며 일부의 사찰을 제외하고는 불서간행이 그다지 활발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6세기에 이르면 불서간행의 주도권은 사찰로 넘어오게 된다. 사찰은 더 이상 왕실의 불서간행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儒臣들의 지속적인 반대로 결국 불교가 국가의 정책에서 완전히 배제되어 방임되었던 분위기 속에서 자구책으로서 민간을 대상으로 하는 齋儀나 追善을 위한 경전과 의식집, 그리고 승려들의 교육을 위한 불서들을 간행하였다. 이와 같은 사찰의 불서간행은 1520년대를 기점으로 서서히 증가하였고, 불교가 일시적으로 중흥했던 명종대를 지나 선조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조선전기 사찰에서 간행된 불서들을 정리해 본 결과 대부분의 사찰들은 대승경전과 의식집, 승려들의 학습을 위한 불서들이 복합적으로 간행되는 경향을 띄었다. 하지만 이와는 대조적으로 敎宗과 관련된 전적의 간행이 드물었던 이 시기에 華嚴과 관련된 불서들이 대량으로 간행하였던 歸眞寺와 星宿寺, 禪과 관련된 불서들이 집중적으로 간행되었던 普賢寺와 新興寺, 의식집의 간행이 두드러졌던 廣興寺 등과 같이 특정한 분야의 불서간행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사찰들이 있어 해당 사찰의 불서간행 경향과 그 연유를 함께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d the backgrounds of publication of Buddhist texts by Buddhist temple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and analyzed cases of Buddhist temples that produced Buddhist texts of specific fields in large quantit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end of publishing Buddhist texts at those temples.
    In fifteenth-century Joseon, Buddhist texts were published mainly by the royal court and rarely by Buddhist temples except for certain cases. In the sixteenth century, however, Buddhist temples emerged as main publishers of Buddhist texts. In this period, the royal court discontinued the tradition of publishing Buddhist texts and Buddhism was eventually abandoned in state governance and policies due to constant opposition from Confucian scholars. Against this backdrop, Buddhist temples published Buddhist scriptures that were necessary for performing rites for ordinary people or deceased souls, manuals of rituals, and texts for education of Buddhist monks. Publication of Buddhist texts at Buddhist temple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1520s and continued through the short renaissance of Joseon Buddhism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明宗, r. 1545–1567) and the subsequent period under the rule of King Seonjo (宣祖, r. 1567–1608).
    The examination of the Buddhist texts published by Buddhist templ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revealed that most temples published several categories of texts as mentioned above—e.g., scriptures of Mahayana Buddhism, ritual manuals,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monks. Interestingly, certain temples including Guijinsa Temple and Seongsusa Temple in Hwanghae-do produced many texts related to Avatamsaka (華嚴; Kr. Hwaeom, Ch. Huayan) school of Buddhism while publication of texts other than those on Seon Buddhism was rare at the time. Bohyeonsa Temple in Pyeongan-do and Sinheungsa Temple in Gyeongsang-do intensively produced texts of Seon (禪) Buddhism.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s of publishing Buddhist texts at those temples and the reasons behind such tre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