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소리 ‘창조’의 음악적 특성과 기능 고찰 -성우향 판소리 「춘향가」를 중심으로- (Mus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P'ansori Ch'angjo -Focusing on Sŏng U-hyang’s Pansori "Ch'unhyangg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4.06
36P 미리보기
판소리 ‘창조’의 음악적 특성과 기능 고찰 -성우향 판소리 「춘향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52호 / 241 ~ 276페이지
    · 저자명 : 조순자

    초록

    판소리 ‘창조(唱調)’는 그동안 음악학계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는데, 그 이유는 ‘창조’가 소리와 아니리의 중간적 성격을 띠고 있어 연행과정에서 쉽게 구분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성우향 판소리 「춘향가」를 중심으로 판소리 ‘창조’의 음악적 특성과 기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성우향의 김세종제 「춘향가」를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관련 음원을 채보 및 분석하고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판소리 ‘창조’의 가장 큰 음악적 특성은 무장단(無長短)의 소리라는 점이다. 길은 우조길과 계면길로 구분되며, 우조길은 솔음계로 1자다음(一字多音, melismatic)이 많은 반면 계면길은 ‘1자1음식’(一字一音, syllabic)진행과 3음계(미-라-도)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다.
    둘째, 판소리 ‘창조’가 시조창 ‧ 시창 ‧ 송서 등과 음악적으로 공통점이 많은 이유는 각각의 음악형식을 판소리 ‘창조’에 차용함으로써 이들이 ‘창조’라는 틀 안에서 창조적으로 융합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창조’의 기능은 극적 상황의 전환점 ․ 의사소통을 돕는 보완제 역할 ․ 창자에게 휴식의 기회 제공 ․ 작중 인물의 감정상태 묘사 기능 등 네 가지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판소리 ‘창조’연구의 첫 발을 내딛으며 음악적 특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창조’ 역사적 전개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성우향 판소리 「춘향가」창본 이외에 다른 판소리 창자들이 정리한 다수의 창본을 함께 검토하여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P'ansori 판소리 ch'angjo 唱調 has not received the much attention by music circles for a while, for it has the interim feature of ch'ang (song) and aniri 아니리 (narration) and this feature is not easy to be classified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p'ansori ch'angjo, focusing on Sŏng U-hyang’s 成又香 pansori "Ch'unhyangga 春香歌." The scope of study was limited in Sŏng U-hyang’s Kim Se-jong 金世宗 School "Ch'unhyangga 春香歌." The method of study was to write and analyze a sound source and examine literatur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a biggest musical characteristic of p'ansori ch'angjo is that it is a no-changdan song. Its kil consists of ujogil 우조길and kyemyŏn‘gil 계면길, and ujogil is sol-scale, consisting of many melismatics, whereas kyemyŏon’gil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syllabic progress and a three (mi-la-do) scale music.
    Second, the reason why p'ansori ch'angjo has many common musical points with sijo song, poetic song and reading seems to be in that it borrows these features and then internalizes them in its frame of performance.
    Third, the function of p'ansori ch'angjo can be classified into four: (1) a turning point of dramatic situations, (2) a supplementary role of helping communication, (3) providing resting time to its performer, and (4) describing characters’ emotional status. This study, which examined musical characteristics of p'ansori ch'angjo, seems to be the first step to academically research into it. The author hopes studies in the future will deal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angjo and expand its research scope to other versions of p'ansori ch'angjo, sorted out by other p'ansori performers, in addition to Seong, U-hyang’s pansori "Ch'unhyangg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