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鏤板考」에 수록된 경남지역 서원 藏板 - 서원 刊板을 대상으로 - (Wooden Printing Blocks Held in the Seowons in Gyeongnam Province Listed on the Nupango)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1.12
44P 미리보기
「鏤板考」에 수록된 경남지역 서원 藏板 - 서원 刊板을 대상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50호 / 187 ~ 230페이지
    · 저자명 : 윤상기

    초록

    이 글은 「鏤板考」에 수록된 경남 지역 서원들에서 소장하고 있던 책판들을 대상으로 서원 간행 여부를 밝히고 그 성격들을 분석하되, 우선 서원 간행이 확실한 책판들만을 대상으로 살펴본 것이다.
    대상 책판들과 관련된 판본들을 찾아내어 분석하고, 관련 기록들도 이용하여 그 책판들이 서원에서 간행한 것임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鏤板考」에 수록된 19종의 대상 책판들 중 南冥先生文集, 彛尊錄, 咸安趙氏十忠實錄, 漁溪先生集 및 龜巖先生集의 5종이 서원에서 간행한 것이 확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5종의 책판 중 3종은 集部 別集類에 속하고 2종은 史部 傳記類에 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책판에 판각된 작품들의 저자 혹은 피전자는 모두 책판을 간행한 서원의 배향자이거나 그 후손들로서 배향자와 직․간접으로 관련이 있었다. 이들 5종의 책판들은 총 9종의 판본의 간행에 이용되었는데, 17C 전기, 18C 전기 및 18C 후기에 각각 3종씩 간행되었다. 그리고 그들 중 5종은 초간에 해당되고, 4종은 중간에 해당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dentified whether wooden printing blocks were published by seowons(서원) in Gyeongnam(경남) province, listed on Nupango(「鏤板考」) and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In this research, only the wooden printing blocks almost certainly published by seowons were analyzed.
    To prove their publication in seowons, this study examined the publications connected with wooden printing blocks and relevant documents. The result shows that five of nineteen titles listed in Nupango are sure to be published in seowons: Nammyeong-seonsaeng munjib(南冥先生文集), Ijonrok(彛尊錄), Haman Jo-ssi sipchung sillok (咸安趙氏十忠實錄), Eogye-seonsaeng jib (漁溪先生集), and Guam- seonsaeng jib (龜巖先生集). Three titles among them belonged to the subclass of a personal anthology in the Class of Collection of works and two were categorized into a biography in the Class of History. All authors or the subjects of these works were the people shrined by the seowons which published those titles or their descendents. So they were all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people worshipped by the related seowons. These five titles of wooden printing blocks have been used for publishing nine editions. Each of three editions had been respectively published in the early 16th and 17th centuries, and the late 17th century. Five of them were the first editions and four were the later edition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