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상파방송과 차별화된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시장 경쟁구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ffect of Asymmetric Support for the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on the Market Competition of Broadcasti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1.12
34P 미리보기
지상파방송과 차별화된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시장 경쟁구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학회
    · 수록지 정보 :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 12권 / 4호 / 77 ~ 110페이지
    · 저자명 : 이영주, 박정우

    초록

    방송통신 시장에서는 시장 지배적 사업자에 대한 비대칭 규제를 통해 유효 경쟁 수준을 유지해 이용자에게 혜택이 돌아가게 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공정 경쟁과 매체균형발전론에 근거를 두고 이루어진 지상파방송사에 대한 비대칭 규제의 타당성과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차별화된 정책적 지원의 타당성을 의무전송규정과 광고 직접 판매 방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로 채널 측면에서 지상파방송사와 계열 PP의 합계 시청점유율은 여전히 경쟁적 우위를 가지고 있지만, 지상파의 직접 수신 비중이 감소하고 종합유선방송 가입자의 비중이 60% 이상으로 확대되면서 플랫폼 측면의 시장 지배력은 매우 약화되었다. 따라서 지상파방송사에 대한 비대칭 규제의 시장 조건은 충족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둘째로, 종합편성채널의 의무전송규정은 무료 지상파와 유료방송채널 공통적으로 공익적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방송의 공익성과 다양성을 실현하고자 하는 정책적 목표와 거리가 있음이 밝혀졌다. 상업방송이면서 오락프로그램의 비중이 많은 종편 PP의 의무전송을 통해 실현될 수 있는 정부의 필수적 이익이 명확하지 않다. 종편 PP에 대한 의무전송규정은 후발 사업자의 시장 진입을 도와 가입자 기반을 확대하고 유효 경쟁을 촉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한시적으로 타당성을 가질 수 있으나 플랫폼 사업자의 편성권을 제약하고, 중소 PP의 퇴출가능성이 높아지는 부정적 효과를 상쇄하기는 충분하지 않다. 셋째로, 종편 PP의 광고 판매방식은 정기적인 경쟁 상황 평가와 종편 PP의 콘텐츠 공급 현황, 그리고 경영 성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종편 PP가 성공적으로 안착해 평균 시청률 5% 내외를 유지해 지상파 수준의 영향력을 가지게 되면 방송의 공익성을 유지하기 위해 신규 콘텐츠 편성비율을 늘리고 지상파와 동일하게 미디어렙을 통한 광고 판매를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종편 PP가 MPP 수준에 머물러 1% 미만의 시청률로 매체 영향력이 미미하다면 일반 PP와 동일하게 광고 자체 판매를 허용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영어초록

    In the market of the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ervices, we may have often the effective competition and the audience welfare through asymmetric regulations against dominant enterprise. This study analyzes the feasibility of asymmetric regulations against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ies based on the fair competition and the theory of balanced media development, and favored policy support for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hereinafter referred to as CPC), focusing on the must-carry rule and direct advertising sales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ngs of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ies and their affiliated PP have had a competitive superiority, but they lost the market dominant power in terms of the network as the ratio of direct reception of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has still been low and subscribers of MVPD(multi video program distributor) have increased up to 90% or more. In this point, the asymmetric regulations against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ies lost its legitimacy.
    Second, the must-carry rule of CPC is so far from the broadcasting policies objectives for the public interest and the diversity because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pursues them.
    The must-carry rule of CPC may have a temporary feasibility because it can makes it easy for late movers to penetrate market and accelerate the fair competition. But there are concerns that it may restrict the MVPD’s right of channel line-up and small PPs are thrown out. And finally, the regulation on the CPC’s way of advertising sales should be reconsidered and decided after analyzing the market competition dynamics, content quality as well as business performance. If CPCs enter the market successfully and achieve the average viewership of 5% or mor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regulations on CPC for public interest and fair competition; ratio of first-run program and indirect advertising sales. But if CPCs’ rating is under 1% and their influences are as weak as PP’s, the present level of regulation is feasible in terms of fair competition and balanced media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방송과 커뮤니케이션”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