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양 탄성파탐사 자료의 순간주파수를 활용한 해저 퇴적물 분류 (Seafloor Sediment Classification using Instantaneous Frequency of Marine Seismic Data)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25.04
10P 미리보기
해양 탄성파탐사 자료의 순간주파수를 활용한 해저 퇴적물 분류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신뢰성
    • 실용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해양 지질 연구에 혁신적인 분석 기법 제시
    • 🔬 순간주파수 분석을 통한 해저 퇴적물 분류 방법론 제공
    • 🚢 해양 건설 및 자원 탐사에 직접적인 응용 가능성 제시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산업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산업융합학회논문집 / 28권 / 2호 / 499 ~ 508페이지
    · 저자명 : 이상희, 김성보

    초록

    This study applied an instantaneous frequency analysis technique to evaluate seabed materials using sub-bottom profiler (SBP) data from a marine seismic survey. The seafloor is composed of various sediments and bedrock, each exhibiting different acoustic reflection and attenuation characteristics. Previous research mainly used amplitude attenuation or reflection coefficients to classify sediments. In contrast, this study focused on the variation of instantaneous frequency to improve the accuracy of sediments classification. To achieve this, the energy envelope of the reflected wave was extracted, and the Hilbert transform was used to calculate instantaneous frequency. The results showed that bedrock exhibited primary reflected wave frequencies ranging from 300 to 700 Hz, with distinctive W-shaped and M-shaped patterns. Sandy sediments had slightly higher frequencies between 500 and 800 Hz, also forming W- and M-shaped patterns. Muddy sediments displayed a central frequency near 800 Hz; however, secondary reflections were unclear, and significant signal attenuation was observed due to high water content and low porosit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instantaneous frequency analysis enhances the interpretation of marine seismic data and enables more precise evaluation of seafloor materials compared to traditional amplitude-based methods. The technique supports applications such as offshore construction site investigation, seabed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marine resource exploration.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machine learning and data fusion approaches to develop automated classification systems and validate them across diverse marine environments for broader reliability.

    영어초록

    This study applied an instantaneous frequency analysis technique to evaluate seabed materials using sub-bottom profiler (SBP) data from a marine seismic survey. The seafloor is composed of various sediments and bedrock, each exhibiting different acoustic reflection and attenuation characteristics. Previous research mainly used amplitude attenuation or reflection coefficients to classify sediments. In contrast, this study focused on the variation of instantaneous frequency to improve the accuracy of sediments classification. To achieve this, the energy envelope of the reflected wave was extracted, and the Hilbert transform was used to calculate instantaneous frequency. The results showed that bedrock exhibited primary reflected wave frequencies ranging from 300 to 700 Hz, with distinctive W-shaped and M-shaped patterns. Sandy sediments had slightly higher frequencies between 500 and 800 Hz, also forming W- and M-shaped patterns. Muddy sediments displayed a central frequency near 800 Hz; however, secondary reflections were unclear, and significant signal attenuation was observed due to high water content and low porosit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instantaneous frequency analysis enhances the interpretation of marine seismic data and enables more precise evaluation of seafloor materials compared to traditional amplitude-based methods. The technique supports applications such as offshore construction site investigation, seabed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marine resource exploration.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machine learning and data fusion approaches to develop automated classification systems and validate them across diverse marine environments for broader relia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산업융합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