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 번역론에 나타난 양주동의 조선어 인식과 기능주의적 관점의 의미- ‘김억-양주동’과 ‘양주동-해외문학파’의 시 번역 논쟁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Perspective of Functionalism and Perception about Korean Language Presented in Yang, Ju-dong’s Translation Theory of Poetry Focused on the discussion about translating poetry of ‘Kim, U)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4.06
32P 미리보기
시 번역론에 나타난 양주동의 조선어 인식과 기능주의적 관점의 의미- ‘김억-양주동’과 ‘양주동-해외문학파’의 시 번역 논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41권 / 127 ~ 158페이지
    · 저자명 : 하재연

    초록

    이 글에서는 1920년대 중후반부터 벌어졌던 번역 담론, 특히 시에 관한 논의들을 중심으로 조선어 문체에 관한 번역가들의 생각과 입장 차를 살펴볼 것이며 김억이나 해외문학파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조명되었던 양주동의 글들을 중심으로 논하고자 한다. 양주동이 김억이나 해외문학파와 벌였던 논쟁을 통해 드러나는 번역가의 역할과 조선어 문체를 인식하는 서로 다른 좌표에 대해서는 주의 깊은 해석이 필요하다. 특히 시 번역의 딜레마를 둘러싸고 그들이 조선어와 조선문학의 현실에 대한 고민을 더 구체화시켰으며, 이를 통해 조선의 근대문학과 세계문학의 접점을 각자 다른 방식으로 상상했음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억에게 번역가의 역할이란 독특한 조선적 근대를 실현할 창작가 즉 예술가의 역할과 다른 것이 아니었다. 해외문학파는 한자를 비롯한 조어나 생경한 외래어를 문체에 적극적으로 차용함으로써 조선어 문체를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해외문학』에 번역된 시들은 당시 문단에서 작가들이 치열하게 고민하고 실험했던 조선어 문장의 성과를 거의 반영하고 있지 못했다. 양주동이 번역가로서 지향했던 입장은 좀더 실용적이거나 기능적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는 번역문에서도 문체의 기능적 분리가 필요함을 주장했으며, 그에게 번역가는 자국어문 즉 조선어에 대한 충분한 견식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었다. 양주동의 계몽적 시편들에서 보이듯, 민중적 문학을 추구하는 그의 지향이 실제 창작에서 성공적으로 발현되지 못한 경우 또한 많았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민중에 다가가는 조선어 문체의 수련과 조선문단과의 교섭을 추구하고 번역가의 기능적 역할을 중시하는 양주동의 입장은, 당시 제기되었던 번역론과 번역가들 사이에서도 독자적인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discourse about translation around the mid 1920's. I considered, especially in poetry how writers perceived possibility of enlarging Joseon literature by translation and accepting world literature. I aimed to illuminate Yang judong's thinking about Joseon language and translation because he had went on creation of poetry and translation and provided issues on the arguments of translation. Kim Uk identified translator's role with artist's or creator's who realized unique modernization of Joseon. The group of "Haewaemunhak" suggested we had to make new words and borrow foreign words including Chinese character. They invested translators with ideal role of working on 'translation+research+creation' and enlarging life world of Joseon. Yang's position as a translator, however, was more practical and functional. He had taken his own way to pursue training of Joseon language style and contacting with the Joseon literary circles. He had an opinion that translators had to divide styles depending on function of writing. He recognized translators as practicians with plenty of knowledge about Joseon language. His orientation towards the literature in viewpoint of people didn't meet with successful creation of poems. Yang's position, however, was meaningful in the middle of translators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