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 TBL⋅PBL 학습 과정에서 팀 내 과업 갈등이 집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계 갈등의 다수준 교차 조절효과 분석 (The Effect of Task Conflict on Collective Efficacy in University Team-Based Learning Environments: Testing a Cross-Level Moderation with Relationship Conflict)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4.02
16P 미리보기
대학생 TBL⋅PBL 학습 과정에서 팀 내 과업 갈등이 집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계 갈등의 다수준 교차 조절효과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4권 / 3호 / 133 ~ 148페이지
    · 저자명 : 최성원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 TBL⋅PBL 학습 과정 중 팀원 간 과업 갈등과 관계 갈등이 집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다수준(multilevel) 방법론을 활용해 검증하였다.
    방법 총 176명의 대학생이 25개 팀으로 나뉘어 약 10주 동안 TBL⋅PBL 학습 과정을 통해 대학 수학 수업에 참여하였고 기말에설문 조사가 실시되었다. 구조모형 패키지 Mplus를 활용해 random slope 모델링을 적용한 다수준 교차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개인 레벨 과업 갈등과 집단효능감 사이에 팀 레벨 관계 갈등에 의한 유의한 다수준 교차 조절효과가 존재하였다. 즉 관계 갈등이 높은 팀에서는, 팀원 과업 갈등과 집단효능감 사이에 정적(+) 관계가 존재하였다. 한편 관계 갈등이 낮은 팀에서는, 팀원 과업갈등은 집단효능감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관계 갈등은 개인 및 팀 레벨 모두에서 집단효능감을 유의하게 저하시키는 효과를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소속된 팀의 전반적 갈등의 질에 따라, 팀원의 과업 갈등이 집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함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팀 내에 문제가 있을수록 대화를 더 많이 해야 한다’는 대학 현장의 경험적 인식과 맥을 같이 하며, 이에TBL⋅PBL 학습 과정에 있어서의 교육 및 실천적 시사를 다루었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utilized a multilevel approach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ask and relationship conflicts among college team members on collective efficacy during university TBL and PBL classes.
    Methods Over a span of 10 weeks, a total of 176 students were organized into 25 teams participating in a university calculus mathematics course, which was conducted using TBL and PBL methodologies. At the conclusion of the course, a survey was administered. The study employed a cross-level interaction analysis with random slope models.
    Results The study revealed a significant cross-level moder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level task conflict and collective efficacy moderated by team-level relationship conflict. In teams characterized by high relationship conflic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m members' task conflict and collective efficacy.
    Conversely, in teams with low relationship conflict, team members' task conflict had little impact on collective efficacy. Relationship conflict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affected collective efficacy at both individual and team levels.
    Conclusions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d that the influence of team members' task conflict on collective efficacy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team relationship conflict. Th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ffective communication during periods of relationship conflict in teams. The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for TBL and PBL for both scholars and practition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