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상 팀의 지식네트워크, IT 활용,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Knowledge Networks, IT Use, and Performance in Virtual Teams: A Social Network Analysi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09.02
29P 미리보기
가상 팀의 지식네트워크, IT 활용,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학연구 / 38권 / 1호 / 75 ~ 103페이지
    · 저자명 : 서아영, 신경식

    초록

    가상 팀(Virtual team)은 기본적인 팀제도의 성격을 유지하면서 전자적 연계에 의존하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조직형태이다. 본 연구는 가상 팀 정황 하에서 (1) 팀 구성원이 집단 내․외에서 맺고 있는 지식 네트워크가 팀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2) IT 활용의 수준이 지식 네트워크가 팀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 가에 대해서 실증 함으로써, (3) 가상 팀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지식 네트워크 구축과 IT 활용 방안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 네트워크 이론을 바탕으로 지식 네트워크의 내부 결속과 외부 매개성을 결합하는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172명의 개인과 42개 가상 팀을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지식 네트워크의 내부 결속(네트워크의 밀도)과 가상 팀의 성과 사이에는 유의한 선형적 관계가 존재함이 나타났다. 반면, 지식 네트워크의 외부 매개성(구조적 공백)은 팀 수준의 IT 활용 수준에 따라 팀 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사회 네트워크 이론을 가상 팀에 적용함으로써, 가상 팀의 효과적인 지식네트워크 구축 방안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A virtual team is defined as a group of people that works across space, time, and organizational boundaries with links strengthened by the divers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media.
    By forming virtual teams, people can easily collaborate with other people and acquire information and knowledge from anywhere and at anytime. However, managing virtual teams is far more challenging than managing traditional teams because ad hoc virtual teams may engage in a lower level of social interacts and supports than their counterparts in face-to-face environments. The problem of how to manage social relationships among virtual team members to increase their performance is considered to be very pivotal and still remains unsolved.
    Through the lens of social networks,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specific questions: (1) to what extent should ad hoc virtual teams maintain internal cohesion; (2) whether do virtual team members’ external bridging ties guarantee the higher level of team performance; and (3) how does IT play the role in balancing and harmonizing internal cohesion and external bridging ties for increasing the performance of a virtual team.
    We investigate these questions with the specific type of social networks; the knowledge networks which contain knowledge or task-related intelligence in the networks. These knowledge networks contain the collective competencies that enable organizational members to produce products and services.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knowledge networks of virtual teams on their 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to manage knowledge network among members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a virtual team.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hree-fold. First, we conceptually clarify the properties of knowledge networks that individuals maintain within and outside their work groups: network density and group-level structural holes. Next, by integrating social network theory and CMC related theories, we develop a theoretical framework linking knowledge networks, IT use, and team performance. Third, we examine the interplay among the research constructs and elucidate a complex phenomenon in relations to the forming and managing knowledge networks of a virtual team, which is in short supply in the current literature.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with 172 consultants and 42 virtual teams in 5 global consulting companies in Korea. The study found that increasing network intra-group network density was crucial for better team performance. On the contrary, increasing extra-group structural holes decreased the team performance, contradicting the prevailing wisdom. The most important standpoint is that the effect of knowledge network of virtual teams varied along the level of IT use that is related to communal CMC such as group ware or group decision support systems (GD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how to manage knowledge network by integrating social network theory and computer-mediation communication theory, and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knowledge network and IT use in the context of virtual tea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at optimal knowledge network configurations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a virtual team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IT u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