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 프로젝트 팀의 리더십 네트워크 특성이 팀 몰입과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 수준 분석 (The Effects of Leadership Network Characteristic in University Student Project Teams on Team Commitment and Team Performance: Team-Level Analysi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6.04
20P 미리보기
대학생 프로젝트 팀의 리더십 네트워크 특성이 팀 몰입과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 수준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업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업경영연구 / 23권 / 2호 / 175 ~ 194페이지
    · 저자명 : 양동민, 심덕섭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 프로젝트 팀의 리더십 네트워크 특성이 팀 몰입과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는 리더십 연구에 있어 전통적인 접근법이라 할 수 있는 수직적 리더십과 최근 환경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학계와 실무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공유리더십을 함께 고려하여 팀 기반 환경에 적합한 리더십을 규명하기 위한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팀 내 리더십 영향력 패턴을 보다 잘 파악하기 위해 사회네트워크 접근법을 활용하였다. 기존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 네트워크의 중심성이 팀 몰입과 팀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과 함께 리더십 네트워크의 밀도 역시 팀 몰입과 팀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81개 대학생 프로젝트 팀의 37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 리더십 네트워크의 중심성과 밀도 모두 팀 몰입과 팀 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심성과 밀도 모두 팀 내에서 팀 몰입과 팀 성과를 증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팀 내에서 높은 중심성과 높은 밀도의 특성을 갖는 리더십 네트워크는 함께 공존할 수 있으며 중심성과 밀도 각각의 긍정적인 영향력이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팀 몰입과 팀 성과를 설명하는 요인들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Leadership is considered crucial for enabling team effectiveness, but most existing research on team leadership has focused narrowly on the influence of an individual team leader, thus largely neglecting leadership provided by team members. Current forms of teamwork that emphasize knowledge-based work rely on employees who have high levels of expertise and seek autonomy in how they apply their knowledge and skills and therefore desire greater opportunity to shape and participate in the leadership functions for their teams. Utilizing social network approach, we investigated density and centrality of leadership in team and their influence on team commitment and team performance, in order to better capture these overall patterns of influ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dership network characteristics on team commitment and team performance.
    Based on prior literature, this study derives following hypotheses.
    H1. Leadership network centrality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commitment.
    H2. Leadership network centrality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H3. Leadership network density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commitment.
    H4. Leadership network density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in our study, we collected data via a survey with a sample of 81 university student teams, comprising 374 respondents (on average 4.38 per team).
    Centrality and density were measured by 3 items from Kent & Moss(1990). The measurement of centrality and density can be measured by tie type among team members(Balkundi & Harrison, 2006). Team commitment was measured by scale from Van der Vegt, Emans & Van de Vliert(2000) on a 4-item scale. Team performance was measured by 11-item scale from Henderson & Lee(1992), Hoegl & Gemuenden(2001), Gemuenden & Lechler(1997). Items were rated on a 7-point Likert-type scale ranging from 1 to 7.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entrality of leadership network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m commitment and team performance. Mangers should therefore ensure that each team has a clear and shared sense of direction, prepares working plans, prioritize and allocate team tasks and promote and establish norms of participations and workload sharing. Second, density of leadership network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m commitment and team performa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organizations should help develop strong shared leadership patterns within their teams to bolster effectiveness. Organizations can promote shared leadership by setting expectations and encouraging members when teams initially form to view themselves and their fellow team members as leaders and to engage in shred, mutual leadership.
    Using a network-based measure of centrality and density, which better captures the patterns of mutual influence inherent in the construct, the findings provide several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leadership network characteristics in the team context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업경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후